현대모비스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A/S부문의 수익성이 계속 좋아지고 모듈부문 실적도 중국 경제보복의 완화 영향으로 점차 나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현대모비스 사드보복 완화로 수익 회복, 주가도 상승 쪽에 무게

▲ 임영득 현대모비스 사장.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31일 현대모비스 목표주가를 34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주가는 30일 25만4천 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모듈부문의 부진은 대부분 사드보복에 따른 중국의 판매감소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4분기를 기점으로 점차 회복될 것”이라며 “A/S부문의 구조적 수익성이 나아지고 있는 점도 사드 여파가 완화되면서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운전보조장치(ADAS)와 친환경차 판매의 확대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핵심부품 매출은 물론 A/S사업부의 자동차 1대당 매출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모비스는 2016년 하반기부터 유럽, 미국, 중국 등 주요 거점에 물류투자를 한 결과 앞으로 A/S부문 수익성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중앙물류센터와 재고통합관리시스템 등에 고루 투자하면서 A/S부문 수익성에 직결되는 재고자산과 운반보관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점도 A/S부문의 실적호조에 기여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모듈부문은 중국의 사드보복 여파로 부진을 겪고 있지만 사정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 중국에서 모듈부문의 매출감소폭이 2분기 27%에서 3분기 38%로 줄어들기도 했다.

4분기에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중국공장의 가동률이 이전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감안하면 현대모비스 모듈부문의 영업이익률도 3.5%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모비스는 3분기에 영업이익 5444억 원을 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줄었다. 

김 연구원은 “현대모비스는 모듈부문이 여전히 부진했지만 A/S부문에서 높은 마진을 냈다”며 “사드 경제보복의 여파를 감안하면 3분기에도 비교적 선방했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