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PS가 국내 원전해체시장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

양지혜 삼성증권 연구원은 5일 “한전KPS는 국내 원전해체사업 참여가 가시화되면서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했다”며 “국내 원전해체시장은 2022년 이후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전KPS, 국내 원전해체시장 열리면 성장동력 확보

▲ 정의헌 한전KPS 사장.


한국원자력연구원은 4일 한전KPS 등 주요 원자력 전문기업들과 고리원전1호기 해체 핵심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

원전해체의 핵심기술은 해체준비, 제염, 절단, 폐기물 처리, 환경복원 등 모두 5단계와 38개 기술로 분류돼 있으며 우리나라는 이 가운데 27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한전KPS는 이번 계약을 통해 원전 1차계통 화학제염 기술을 검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체개발한 무착화성 화학제염기술을 실용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제염기술은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할 때 노수 순환계통장치 및 기기류에서 발생하는 방사성물질을 닦아내는 기술이다. 넓은 의미로는 방사능에 오염된 인체와 장치, 주변시설 등의 방사성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번 협약으로 한전KPS는 국내 원전해체시장의 핵심 참여사로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양 연구원은 봤다.

국내 원전해체시장은 고리원전 1호기가 6월 영구정지된 것을 시작으로 2022년 월성 1호기, 2023년 고리 2호기 등의 설계수명 종료가 연이어 예정돼 있다.

양 연구원은 “현재 제염단계의 수주금액을 단정하기 어렵지만 한전KPS에 중장기적으로 수주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참고로 한국수력원자력의 경우 고리원전 1호기 해체를 위한 충당금을 6437억 원 적립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