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와 한화케미칼이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정책에 당장 수혜를 입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충재 KTB증권 연구원은 3일 “문재인 정부가 진행하는 탈원전 탈석탄정책으로 OCI 등 태양광발전 관련기업이 입게 될 수혜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전력요금 인상 등으로 실적에 악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
|
|
▲ 이우현 OCI 사장(왼쪽)과 김창범 한화케미칼 사장. |
문재인 정부는 국내 전력생산에서 원자력발전과 석탄발전의 비중을 축소하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은 높이겠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OCI와 한화케미칼은 그동안 문재인 정부 정책의 수혜주로 꼽혀왔다.
문재인 대통령이 6월15일 30년 이상 가동된 노후석탄화력발전소 8기를 일시적으로 가동중단하라고 지시하자 다음날 OCI와 한화케미칼 주가는 각각 4.45%, 3.06% 뛰었다.
문 대통령이 6월19일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영구정지를 선포했을 때도 20일 OCI 주가는 직전거래일보다 2.81%, 한화케미칼 주가는 6.38% 오르면서 문재인 정부 정책으로 성장전망이 밝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하지만 OCI와 한화케미칼이 태양광발전 관련 매출 대부분을 해외에서 내고 있는 만큼 당장 문재인 정부의 정책으로 실적개선 기회를 잡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OCI는 지난해 폴리실리콘을 만들어 판매하는 베이직케미칼부문 매출의 78.1%를, 태양광발전소 등 에너지솔루션부문의 상품매출 모두를 해외에서 거뒀다.
한화케미칼의 태양광계열사인 한화큐셀은 아예 미국증시인 나스닥에 상장해 있으며 국내 음성과 진천에서 생산되는 태양광발전설비 대부분을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OCI든 한화케미칼이든 국내 태양광발전시장이 워낙 작다보니 해외를 중심으로 태양광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기존보다 확대된다고 해도 실적개선에 큰 보탬이 되기보다는 시장다각화 효과 정도만 내는 데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OCI와 한화케미칼이 내수를 중심으로 태양광발전부문에서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매년 10GW(기가와트)에 가까운 태양광발전소가 건설돼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국내 전체 발전설비규모가 약 100GW인 만큼 매년 수 GW 규모씩 태양광발전소를 짓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탈석탄정책이 단기적으로 OCI와 한화케미칼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이 연구원은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LNG발전 비중을 높일 경우 전력요금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전력요금이 오를 경우 OCI나 한화케미칼 등 태양광발전설비 생산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파악했다.
원자력발전소와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률을 낮출 경우 이들이 생산하던 전력을 LNG(액화천연가스)발전소에서 생산할 가능성이 높다. LNG발전은 발전단가가 높은 만큼 이 경우 전력요금이 오를 수도 있다.
OCI가 군산 등에서 폴리실리콘을 생산할 때 전력요금이 생산원가의 30~3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화큐셀은 충북 음성에서 전체 태양광모듈 생산능력 가운데 30%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폴리실리콘과 태양광모듈 가격은 현재 손익분기점을 간신히 넘기는 수준에서 형성돼 있다. OCI와 한화케미칼은 전력요금이 오를 경우 태양광발전설비 생산원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