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된 뒤 소비자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단통법 시행 전보다 통신요금 부담이 훨씬 늘어나는 데다 보조금은 줄고 위약금 부담 때문에 2년 약정의 노예가 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 번호이동 3분의 1로 급감
2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 시행 첫날인 1일 이통3사 간 번호이동건수는 4524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통법 시행 전인 9월 22일~26일의 일평균 번호이동건수 1만6178건의 3분의 1 수준이다. 또 정부가 시장과열로 판단하는 기준치인 2만4000건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마저 이통사의 보조금이 예상보다 낮다고 우려했다.
최성준 방통위원장은 지난 1일 용산 휴대폰 상가에 현장점검을 나온 자리에서 “이통3사 홈페이지에서 나온 보조금 공시를 보고 액수가 기대보다 적어 좀 놀랐다”며 “내심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 보조금 “너무 적다”
이통3사는 1일 단통법 시행에 따라 단말기별 출고가와 보조금을 공개했다. 이는 전국 어디서나 동일하게 적용되며 일주일 동안 바꿀 수 없다.
소비자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다며 반발했다. 최신 스마트폰에 대한 보조금은 10만~15만 원 선이었다. 기존에 27만 원까지 받을 수 있던 것에 비해 크게 줄었다.
소비자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요금도 올랐다. 줄어든 보조금이라도 최대로 받으려면 비싼 요금제를 써야 하기 때문이다. 요금제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지급하기로 한 규정에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노트4의 경우 이통3사는 최고가 요금제를 쓰는 고객에게 10만 원 안팎의 지원금을 지급한다. 각 회사별 지원금은 SK텔레콤 11만1000원, KT 8만2000원, LG유플러스 8만 원이다.
소비자들은 9~10만 원대 요금제를 쓰면서도 단말기를 80만 원대에 구매해야 하는 것이다. 그나마도 가장 대중적인 6만 원대 요금제에서 지원금이 3분의 2 정도로 줄어든다.
이통사들은 출시된 지 15개월 이상 된 구형 단말기에도 30~40만 원 정도의 보조금만 지급했다.
그동안 15개월 이전에 출시된 제품은 단통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공짜폰으로 나오는 등 파격적 가격으로 보급될 것으로 전망됐다.
참여연대는 성명을 내고 “9만원 요금제에 가입하고 2년 약정하는 경우에만 최고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한 것은 큰 문제”라며 “단통법이 오히려 국민 통신요금 부담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 2년 약정 강제에 위약금 부담도 늘어
그나마도 보조금 등 혜택을 받으려면 2년 약정을 맺고 이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부가 법으로 2년 약정을 강요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약정을 어겼을 때 물어야 하는 위약금 부담도 늘었다.
중간에 휴대폰을 잃어버리거나 번호이동을 하려면 그동안 받았던 할인혜택을 모두 물어야 한다. 이전에도 위약금을 물어야 했지만 번호이동을 하는 통신사에서 보조금을 지급해 위약금을 사실상 대납했다.
또 공기계를 구해 보조금에 상응하는 요금혜택을 받을 때도 단말기의 개통 이력이 2년을 넘지 않을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개통 후 2년이 안된 중고폰을 받아 새로 개통하면 요금혜택을 못 받는 셈이다.
휴대폰 대리점을 방문한 한 고객은 “스마트폰을 2년 동안 고장없이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며 “무상 사후서비스는 겨우 1년 해주면서 약정은 무조건 2년으로 강제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족쇄를 채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 단통법 시행 후 한산한 대리점 모습 |
◆ 경쟁 없으니 보조금 줄 이유도 없다
IT전문가들은 통신사와 제조사가 가격할인에 소극적인 이유로 경쟁이 없어진 상황을 꼽는다.
단통법 시행으로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해 다른 이통사 고객을 유치하던 영업이 불가능해지자 기존 고객들에게 이익을 더 뽑아내려 한다는 것이다.
이통사들은 단통법 시행을 맞아 기기변경 때 혜택을 주는 상품 등을 내놓으며 기존 가입자 지키기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애초에 법이 만들어진 취지대로 통신요금이 줄어들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피해만 늘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값싼 중국폰 등 해외폰 직구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는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이통사들이나 제조사들이 가격 할인을 많이 해 줬던 것은 다른 회사 고객을 뺏어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느꼈기 때문”이라며 “이제 다른 업체와 동등한 수준만 유지하며 할인폭을 최소화하려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