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이 국방부와 사드배치부지 교환계약을 체결하면서 중국의 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롯데그룹뿐 아니라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 등 우리나라 주요 대기업으로 불매운동을 확산하려는 움직임도 고개를 들고 있다.

  중국 사드 반발 거세져, 삼성과 현대차 불매운동도 '선동'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1일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의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한국의 사드배체에 조직적이고 단호한 제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우리의 제재는 평화로우면서 철저해야 한다”며 “중국 소비자들은 시장의 힘을 통해 한국을 벌해 한국에 교훈을 줄 주요한 세력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타임스는 1741만 명의 중국인이 지난해 한국을 여행했고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와 공연 등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점들 들며 “평범한 중국 사람들이 한국을 향한 제재에 주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타임스는 “그러나 우리는 양국관계를 파괴할 조치까지 할 수는 없다”며 “중국경제에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재의 기본이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한국기업으로 제재를 확대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은 삼성과 현대차에 가장 큰 시장으로 이 기업을 향한 제재는 복잡한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한중 갈등이 가속하고 있어 이 기업들도 조만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매체는 “롯데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유명 한국 유통업체들도 중국 소비자들의 제재를 받아야 한다”며 “중국은 북한 핵 개발에 가혹한 제재를 부과했는데 한국이 사드를 배치하면 북한보다 제재가 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지방정부들은 한국의 투자 감소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는 기사도 실었다.

이 기사에서 “한국기업들이 중국에서 철수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면서도 “중국은 경제전쟁이 일어난다고 해도 절대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화통신도 비슷한 목소리를 냈다.

신화통신은 “사드 배치에 직접 관여한 롯데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며 “모두 자기가 뿌린 씨앗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신화통신은 “롯데가 국가 안전을 고려해 부지를 교환했다면 중국 소비자들도 얼마든지 국가안전을 고려해 이런 기업과 제품을 거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