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이 정부 차원에서 과잉 생산과 가격 경쟁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지만 확실한 해결 방법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처지에 놓여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과거 국영기업 중심으로 추진된 철강 및 석탄 산업 구조조정과 달리 이번에는 민간기업들이 가격 인하 경쟁을 주도하고 있어 정책적 도구 활용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14일 “시진핑 주석이 중국의 심각한 가격 경쟁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지만 해답을 찾는 길은 이전과 비교해 너무 어려워졌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 주요 산업은 극심한 ‘출혈 경쟁’ 국면에 접어들었다. 전자상거래 기업들도 이런 흐름에 같은 노선을 타고 있다.
중국 최대 친환경차 기업인 BYD가 5월부터 차량 가격을 34% 낮추면서 경쟁사들의 가격 인하를 자극하기 시작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전자상거래 업계에서는 알리바바와 징둥닷컴, 메이투안 등 상위 기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할인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결국 이러한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가 증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바라봤다.
중국 기업들이 이처럼 공격적 가격 인하 경쟁에 나선 이유는 내수경기 부진 때문이다. 올해 중국 소매판매 지수는 5% 증가율을 보이는 데 그치며 코로나19 사태 당시를 밑돌고 있다.
자연히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32개월 연속 하락하며 경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진핑 정부는 결국 7월부터 기업 실적에 악영향을 미치는 공격적 가격 인하 경쟁을 규제하겠다고 선언하며 적극적 대응을 예고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이를 통제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2015년 정부 주도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철강 및 석탄 기업의 생산 능력을 대폭 줄이면서 무리한 가격 경쟁에 성공적으로 제동을 걸었다.
그러나 대부분 국영기업이던 철강 및 석탄과 달리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과 전자상거래 등 산업은 민간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시진핑 정부가 과거에 성과를 낸 정부 정책으로 가격 경쟁을 완화하는 일은 자연히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산업 정책이 어긋나고 있는 점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의 생산 억제 기조에도 지방정부는 여전히 세수 확보와 고용 유지를 위해 제조 업체들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자연히 제조사들의 과잉 생산과 공급 과잉으로 이어져 가격 경쟁을 유도할 수밖에 없다.
블룸버그는 결국 시진핑 정부가 가격 경쟁 완화를 위해 민간기업의 생산 감축을 유도하고 지방정부를 통제하는 동시에 재정 부양책까지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바라봤다.
시진핑 정부가 향후 5년을 이끌어 갈 경제 정책을 구체화하기 앞서 생산 부진 문제부터 해결해야 하는데 이를 실현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에 처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한 대책을 더욱 강력하게 수립하고 실행해야만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온다”며 “정책 관계자들이 더 강경한 조치의 필요성을 실감해야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