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6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했다.
9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6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6조5천억 원 늘어났다.
5월(5조9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올해 2월부터 계속된 주택거래량 증가 추세와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에 따른 대출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6조2천억 원 늘어나면서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6월 은행권 주담대가 5조1천억 원 늘었다. 전월(4조1천억 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반면 제2금융권 증가폭은 5월 1조5천억 원에서 6월 1조1천억 원으로 4천억 원 줄었다.
기타대출은 3천억 원 증가했다. 5월(4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축소됐다.
신용대출 증가폭이 7천억 원으로 전월보다 1천억 원 줄어든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2천억 원 증가해 전월(5조2천억 원)보다 큰 폭으로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가 3조8천억 원 늘었다. 이는 5월(2조5천억 원) 증가폭보다 1조3천억 원 많은 수치다. 반면 정책성대출은 1조3천억 원 증가해 전월(1조6천억 원)보다 줄었다.
기타대출(1조1천억 원) 증가폭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6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3천억 원 늘어났다. 지난달(7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상호금융권(1조1천억 원) 대출은 늘었지만 저축은행(-400억 원) 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다. 보험과 여전사 가계대출 증가폭은 각각 –2천억 원, -6천억 원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금융위는 이날 관계기관 합동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6월27일 가계부채 관리강화 방안을 발표한 뒤 은행권 주담대 신청액이 감소하고 있다”면서도 “이미 체결된 주택거래량과 대출 승인액 등을 고려하면 가계대출 증가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금융위는 이에 “지역별 대출동향, 주택거래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부동산 관련 불법, 탈법, 이상거래에 엄정히 대응하겠다”며 “금융사들도 감축된 대출 총량목표 달성을 위해 하반기 더욱 염격한 관리에 나서달라”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9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6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6조5천억 원 늘어났다.

▲ 6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 확대 등 영향으로 6조5천억 원 늘어났다고 금융위가 집계했다.
5월(5조9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올해 2월부터 계속된 주택거래량 증가 추세와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에 따른 대출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6조2천억 원 늘어나면서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6월 은행권 주담대가 5조1천억 원 늘었다. 전월(4조1천억 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반면 제2금융권 증가폭은 5월 1조5천억 원에서 6월 1조1천억 원으로 4천억 원 줄었다.
기타대출은 3천억 원 증가했다. 5월(4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축소됐다.
신용대출 증가폭이 7천억 원으로 전월보다 1천억 원 줄어든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2천억 원 증가해 전월(5조2천억 원)보다 큰 폭으로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가 3조8천억 원 늘었다. 이는 5월(2조5천억 원) 증가폭보다 1조3천억 원 많은 수치다. 반면 정책성대출은 1조3천억 원 증가해 전월(1조6천억 원)보다 줄었다.
기타대출(1조1천억 원) 증가폭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6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3천억 원 늘어났다. 지난달(7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상호금융권(1조1천억 원) 대출은 늘었지만 저축은행(-400억 원) 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다. 보험과 여전사 가계대출 증가폭은 각각 –2천억 원, -6천억 원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금융위는 이날 관계기관 합동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6월27일 가계부채 관리강화 방안을 발표한 뒤 은행권 주담대 신청액이 감소하고 있다”면서도 “이미 체결된 주택거래량과 대출 승인액 등을 고려하면 가계대출 증가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금융위는 이에 “지역별 대출동향, 주택거래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부동산 관련 불법, 탈법, 이상거래에 엄정히 대응하겠다”며 “금융사들도 감축된 대출 총량목표 달성을 위해 하반기 더욱 염격한 관리에 나서달라”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