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텍사스 홍수 참사에도 재난대응체계 해체 강행 뜻 보이며 "누구도 예측 못했을 것"

▲ 8일(현지시각) 텍사스주 과달루페강 일대 인근에 있던 한 주택이 불어난 강물에 휩쓸려 버려져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텍사스주에서 발생한 홍수 참사에도 불구하고 재난대응체계 해체를 그대로 강행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각) "기상청 인력 감축에 변경은 없다"며 "이번 참사는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그는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지만 누구도 이번 참사가 발생할 것을 알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앨런 제라드 전 미국 해양대기청(NOAA) 폭풍 연구소 책임자는 가디언 인터뷰에서 "트럼프 정부가 제시한 2026년도 예산은 이번과 같은 참사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를 저해한다"며 "이는 본질적으로 같은 사건이 재발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끝내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블룸버그와 가디언 등 주요 매체들은 모두 이번 참사를 앞두고 사전경보가 제대로 발령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참사가 발생한 텍사스주 과달루페강 일대는 4시간 만에 300mm가 넘는 비가 내리면서 강 수위가 1시간 사이에 8미터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했으나 범람 경보는 사전에 나오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블룸버그와 가디언 등은 이미 해당 지역은 과거에도 돌발 홍수가 여러 차례 발생했던 지역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역 주민들은 해당 지역을 '돌발 홍수 길목'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외신들은 사실상 언제든 참사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인데 당국이 대응을 게을리한 것이 아니냐며 트럼프 정부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래리 레이타 텍사스주 커 카운티 보안관은 범람 경보가 발령되지 않은 원인을 묻는 기자들에 "그것을 파악하는 것은 당장 우리의 우선순위가 아니다"고 직접적 답변을 회피했다.

연방 정부 차원에서 이번 참사를 수습하려는 노력도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블룸버그는 참사가 발생한 지 5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실종자 수가 161명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현장 대응은 텍사스주 당국과 공무원들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디언은 트럼프 정부는 연방재난관리청(FEMA)을 통한 지원을 약속했으나 데이비드 리처드슨 청장 대행은 현장을 방문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은 크리스티 노엠 국토안보부 장관과 함께 11일에 참사 현장을 방문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사만다 몬타노 미국 메사추세츠 해양 아카데미 교수는 가디언을 통해 "연방재난관리청은 지금 너무 축소돼 있어 재난에 유의미한 대응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 가늠하기 어렵다"며 "이 와중에 연방재난관리청장은 매우 이례적으로 이번 사태를 언급조차 않고 있는 점을 볼 때 그들은 더 이상 신뢰하기 어려운 기관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