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웅제약이 영업사원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내놨다.
2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 영업 직원들이 대웅제약의 신약 처방 확대를 위해 전국 병·의원 수백 곳에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해당 의혹은 공익신고자가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대웅제약의 불법 리베이트 영업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국민권익위원회에 제출하며 불거졌다.
대웅제약은 “보도에서 언급된 ‘보고서’는 공식 문서가 아니고 영업사원이 CRM 시스템에 작성한 활동 메모”라며 “일부 직원이 자신의 성과를 과장해 작성한 메모를 발췌해 합법적인 학술활동과 잘못 연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약사법 및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하며 의약학계 발전을 위한 학술 행사를 후원하고 의료진에게 제품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제품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또 이런 활동은 모두 내부 규정에 따라 투명하게 기획되고 집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번 의혹에 대해 재수사를 결정하고 경기남부청으로 사건을 이관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장은파 기자
2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 영업 직원들이 대웅제약의 신약 처방 확대를 위해 전국 병·의원 수백 곳에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 대웅제약(사진)이 최근 불거진 불법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라고 26일 설명했다.
해당 의혹은 공익신고자가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대웅제약의 불법 리베이트 영업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국민권익위원회에 제출하며 불거졌다.
대웅제약은 “보도에서 언급된 ‘보고서’는 공식 문서가 아니고 영업사원이 CRM 시스템에 작성한 활동 메모”라며 “일부 직원이 자신의 성과를 과장해 작성한 메모를 발췌해 합법적인 학술활동과 잘못 연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약사법 및 공정경쟁규약을 준수하며 의약학계 발전을 위한 학술 행사를 후원하고 의료진에게 제품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제품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또 이런 활동은 모두 내부 규정에 따라 투명하게 기획되고 집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번 의혹에 대해 재수사를 결정하고 경기남부청으로 사건을 이관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