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기후솔루션 포스코 앞 기자회견, "광양 제2고로 개수 중단하라"

▲ 기후솔루션, 플랜1.5, 환경운동연합, 광양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 회원들이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앞에서 포스코 광양 제2고로 개수 결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기후단체들이 철강기업의 석탄 고로 수명 연장 결정을 규탄하는 서한을 전달했다.

기후솔루션, 플랜1.5, 환경운동연합, 빅웨이브, 포항환경운동연합, 광양환경운동연합, 충남환경운동연합 등 국내 기후단체들은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앞에서 포스코의 광양 제2고로 개수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은 이날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앞으로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을 기억하고 책임의 시발점을 광양 제2고로 개수 중단으로 삼아야 한다”고 적은 서한을 발송했다.

또한 그 외에도 현재 가동하고 있는 모든 고로 설비의 단계별 폐쇄 계획을 탄소중립 로드맵에 포함해 발표하고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전까지 구체적 탄소 감축 계획을 발표하라고 요구했다.

포스코는 앞서 2020년에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으나 지난해 기준 국내 탄소 배출량 1위 기업 자리를 지키고 있다.

포스코의 탄소 배출량이 많은 이유는 철강 생산에 사용하는 고로가 석탄을 기반으로 한 코크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코크스는 연소 과정에서 철광석에 함유된 산소를 빼내는 역할을 한다.

산소가 코크스의 탄소와 결합한 뒤 이산화탄소로 배출되는데 해당 과정을 다른 재료로 대체하기 어려워 철강사들은 온실가스 감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로서는 코크스를 수소로 대체하는 수소환원제철이 철강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 때문에 국내 기후단체들은 포스코와 정부가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의 속도를 높이고 배출량이 많은 석탄 고로들을 순차적으로 가동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장] 기후솔루션 포스코 앞 기자회견, "광양 제2고로 개수 중단하라"

▲ 기후단체 회원들이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 앞에서 고로를 형상화한 인형을 포승줄에 묶어 끌고 가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정은 기후솔루션 철강팀장은 “포스코는 계속해서 고로 개수를 진행하며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고 있다”며 “이런 식으로 계속하면 우리에게 얼마 남지 않은 '탄소 예산'은 다 써버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탄소 예산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기준에 따라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배출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량을 말한다. 단순 인구 비례로 따지면 한국에 남은 탄소 예산은 대략 33억 톤으로 추정된다.

2023년 기준 한국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2420만 톤이니 약 5년이면 모두 소진되는 셈이다.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철강 산업이 전체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18%다.

국가 차원에서 악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 배출 외에도 환경오염 문제에 민감한 지역 주민들도 고로 개수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백양국 광양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고로를 개수해 앞으로 계속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하겠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고로 개수는 지역사회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이고 오히려 고로가 일으킨 환경오염 때문에 거주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후단체들은 규탄성명 발표를 마치고 고로를 형상화한 인형이 포승줄에 묶여 있는 퍼포먼스를 진행하면서 고로 퇴출을 촉구했다.

박 팀장은 “광양 고로 수명 연장 여부는 포스코가 과연 탄소 배출 문제를 개선할 생각이 진정으로 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가늠자가 될 것”이라며 “포스코는 기후위기 문제에 책임 의식을 갖고 있다면 고로 개수 중단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