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올해 국내 자동차산업을 평가하고 내년도 산업 여건을 전망한 ‘2024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5년 전망’ 보고서를 5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자동차산업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는 부진했으며, 북미 시장 국산차 판매 호조로 수출은 증가했다.
내수 판매량은 경기 부진, 고금리, 높은 가계부채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신차 구매 의향이 감소하고, 전기차 판매 부진이 이어졌다. 또 하반기 일부 자동차와 부품업체의 임금단체협상에 따른 부분 파업으로 생산 차질이 빚어지면서, 올해 내수 판매량이 전년 대비 6.3% 감소한 164만 대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수출은 유럽 지역 감소에도 최대 수출 시장인 북미에서 수요가 이어졌다. 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하이브리드차량(HEV)에 대한 선호가 지속돼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0.7% 증가한 279만 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2016년 이후 최대치다.
친환경차 수출(10월까지 누적)을 보면 하이브리드차는 38.7%의 높은 수출 증가세를 유지했다. 전기차 수출은 세계적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 영향으로 22.2% 감소했다. 특히 미국 전기차 수출은 IRA(인플레이션 방지법) 세액 공제 요건 강화와 고금리로 인한 소비자 부담 가중으로 둔화했다.
완성차 수출액은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하이브리드, SUV 등 고가 차량 수출 확대로 전년 대비 0.2% 증가한 약 71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협회는 추산했다.
자동차 생산량은 전반적 내수 부진과 상반기 현대자동차·기아의 일부 공장 생산시설 조정에 따른 가동 중단, 하반기 자동차 업체들의 임단협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 대를 예상했다.
협회는 내년 세계 자동차 수요가 최대 시장인 중국의 저성장 기조에도 물가 안정, 금리인하,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구매 여건 개선에 따라 전년 대비 3.3% 소폭 증가한 9471만 대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국내 자동차 판매는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는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올해 기저 효과로 인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전기차 판매 둔화, 높은 가계부채, 자산시장 불안정 등으로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1.3% 소폭 증가한 166만 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하고, 생산량도 전년 대비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3.1% 감소한 270만 대, 수출액은 4.2% 감소한 680억 달러일 것으로 협회는 추산했다.
내년 생산량은 내수 반등에도 수출용 생산 감소로 국내 생산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407만 대로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성근 기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자동차산업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는 부진했으며, 북미 시장 국산차 판매 호조로 수출은 증가했다.
▲ 올해 국내 자동차산업이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는 부진했으며, 북미 시장 국산차 판매 호조로 수출은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11월21일(현지시각) 미국 LA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4 LA 오토쇼 제네시스 전시관. <현대자동차>
내수 판매량은 경기 부진, 고금리, 높은 가계부채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신차 구매 의향이 감소하고, 전기차 판매 부진이 이어졌다. 또 하반기 일부 자동차와 부품업체의 임금단체협상에 따른 부분 파업으로 생산 차질이 빚어지면서, 올해 내수 판매량이 전년 대비 6.3% 감소한 164만 대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수출은 유럽 지역 감소에도 최대 수출 시장인 북미에서 수요가 이어졌다. 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하이브리드차량(HEV)에 대한 선호가 지속돼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0.7% 증가한 279만 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2016년 이후 최대치다.
친환경차 수출(10월까지 누적)을 보면 하이브리드차는 38.7%의 높은 수출 증가세를 유지했다. 전기차 수출은 세계적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 영향으로 22.2% 감소했다. 특히 미국 전기차 수출은 IRA(인플레이션 방지법) 세액 공제 요건 강화와 고금리로 인한 소비자 부담 가중으로 둔화했다.
완성차 수출액은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하이브리드, SUV 등 고가 차량 수출 확대로 전년 대비 0.2% 증가한 약 71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협회는 추산했다.
자동차 생산량은 전반적 내수 부진과 상반기 현대자동차·기아의 일부 공장 생산시설 조정에 따른 가동 중단, 하반기 자동차 업체들의 임단협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 대를 예상했다.
협회는 내년 세계 자동차 수요가 최대 시장인 중국의 저성장 기조에도 물가 안정, 금리인하,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구매 여건 개선에 따라 전년 대비 3.3% 소폭 증가한 9471만 대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국내 자동차 판매는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는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올해 기저 효과로 인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전기차 판매 둔화, 높은 가계부채, 자산시장 불안정 등으로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1.3% 소폭 증가한 166만 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하고, 생산량도 전년 대비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3.1% 감소한 270만 대, 수출액은 4.2% 감소한 680억 달러일 것으로 협회는 추산했다.
내년 생산량은 내수 반등에도 수출용 생산 감소로 국내 생산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407만 대로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