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불려간 HD현대중공업 이상균, 해결못한 중대재해와 노조파업에 골머리

이상균 HD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이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를 듣고 있다. <국회방송 갈무리>

[비즈니스포스트] 이상균 HD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이 조선소 현장 근로자 사망 사고와 노사 임금단체협상 등 꼬인 실타래로 골치를 앓고 있다.

생산현장 안전 강화를 위해 이 대표가 HD현대중공업에 투입된 지 4년이 흘렀지만, 회사는 여전히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조선소 오명을 쓰고 있다.

또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국내 경쟁사들이 올해 임단협을 모두 타결했지만, HD현대중공업은 여전히 노사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로 분규가 지속되고 있다.

15일 이상균 대표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날 조선소 노동자 안전 대책과 산재 등 노동환경 처우와 관련한 질문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대표에 “사람이 죽거나 다치지 않는 안전한 직장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현장안전성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김 의원은 또 “HD현대중공업이 파업 현장에 드론을 띄우고 물리적 충돌로 노조원이 전치 4주의 부상을 입었다”며 “회사 측이 결자해지 차원에서 먼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김 의원의 질의에 연신 “면밀히 검토하겠다”, “말한 것을 살펴보겠다” 등의 짧은 답변만 내놨다.

앞서 올해 2월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해양공장에서 원유생산설비 철제 구조물을 이동하는 작업 중에 철제구조물 추락으로 60대 노동자 A씨가 숨지고, 50대 노동자 B씨가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21년 2월 이후 2년만에 HD현대중공업 조선소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다. 

2021년 발생한 사망사고와 관련해 울산지방법원은 지난 6월13일 2심 재판에서 이 대표에게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을 선고한 1심판결을 유지했다. 현재 해당 소송의 대법원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 대표는 2018년부터 현대삼호중공업을 이끌다가 2020년 5월 현대중공업(현 HD현대중공업) 조선해양사업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 2020년 들어 현대중공업 조선소에서 사망사고가 잇달아 발생하자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쇄신 차원의 인사로 해석됐다.

이 대표가 부임한 이후 HD현대중공업은 △최고안전책임자 선임 △안전관련 인력 20% 증원 △안전기획실 출범 △안전경영위원회, 안전·생산 심의위원회 신설 △‘3대 안전시설물(발판‧조명‧환기시설) 개선TF’ 발족 △사외협력사 안전관리 기술지원 협약 △‘HD안전페이’ 도입 △각종 안전관리 캠페인 등을 실시했다.

하지만 현장 중대재해는 사라지지 않았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의 산재신청 건수는 지난 2021년 787건(승인 596건), 2022년 985건(682건), 2023년 1073건(761건)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도 8월까지 512건(370건)이 신청됐다.

HD현대중공업의 산재 신청이 조선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8대 조선사 기준)을 보면 2021년 38.3%, 2022년 43.4%, 2023년 43.7% 등이다.

노조 파업도 골치거리다.

노조는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3일 연속 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노조는 지난 8월 올해 첫 파업에 들어갔으며, 10월 들어 파업의 빈도와 수위가 점점 세지고 있다.

특히 지난 10일 10차 파업에서는 사측의 경비인력과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됐다. 
 
국감 불려간 HD현대중공업 이상균, 해결못한 중대재해와 노조파업에 골머리

▲ HD현대중공업 노동조합 소속 직원들이 지난 8월28일 울산조선소 내 파업 현장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 HD현대중공업 노동조합 >

HD현대중공업은 지난 9월 25일 노조에 2차 제시안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제시안은 △기본급 12만2500원 인상 △성과급 지급 기준 변경 △격려금 430만 원 등이다.

노조는 조선업 호황국면을 근거로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 △정년 65세로 연장 △근속 수당 지급 △신규채용 △명절귀향비 200만 원으로 증액 △성과급 산출기준 변경 등을 요구하고 있다.

임단협 체결 지연에 따른 손실은 이미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재호 DB투자증권 연구원은 "HD현대중공업이 3분기 하계 휴가와 파업 등으로 조업일수가 13% 감소했고, 임단협 지연으로 인한 관련 일회성 비용이 4분기로 이연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