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보험사가 성장 둔화에 대비해 미래 성장기반 마련과 사업모형 확장에 힘써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025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2025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 계약서비스마진(CSM), 지급여력비율(K-ICS) 등과 관련한 발표가 진행됐다.
2025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는 건강 및 질병 중심 보장성보험 증가와 퇴직연금 확대 등으로 올해보다 2.4%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생명보험은 0.3%, 손해보험은 4.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익성 지표인 CSM 규모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업 모두 늘어나겠지만 증가율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명보험 CSM 규모는 2024년 60조2천억 원, 2025년 60조5천억 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3.3%, 0.5%가 될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일반손해보험회사 11개 기준 손해보험 CSM 규모는 2024년 67조7천억 원, 2025년 69조7천억 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5.2%, 3.0%로 예상됐다.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 모두 금리 하락 및 해지율 증가에 따라 지급여력비율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보험사가 성장성 둔화, 수익성 악화, 건전성 악화 위기에 대응해 사업모형 확장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세부 방안으로는 △보험금청구권 신탁, 생명보험금 담보대출 등 보험자산 유동화 △주택연금 활용 등 부동산 유동화 △보험상품과 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하는 ‘보험의 서비스화’ 등이 제안됐다.
건전성 악화에 대응할 선제적 부채관리 등 자본관리 역량 강화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김지영 기자
보험연구원은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2025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열었다고 밝혔다.
▲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25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보험연구원>
이날 세미나에서는 2025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 계약서비스마진(CSM), 지급여력비율(K-ICS) 등과 관련한 발표가 진행됐다.
2025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는 건강 및 질병 중심 보장성보험 증가와 퇴직연금 확대 등으로 올해보다 2.4%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생명보험은 0.3%, 손해보험은 4.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익성 지표인 CSM 규모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업 모두 늘어나겠지만 증가율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명보험 CSM 규모는 2024년 60조2천억 원, 2025년 60조5천억 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3.3%, 0.5%가 될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일반손해보험회사 11개 기준 손해보험 CSM 규모는 2024년 67조7천억 원, 2025년 69조7천억 원으로 증가율은 각각 5.2%, 3.0%로 예상됐다.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 모두 금리 하락 및 해지율 증가에 따라 지급여력비율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보험사가 성장성 둔화, 수익성 악화, 건전성 악화 위기에 대응해 사업모형 확장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세부 방안으로는 △보험금청구권 신탁, 생명보험금 담보대출 등 보험자산 유동화 △주택연금 활용 등 부동산 유동화 △보험상품과 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하는 ‘보험의 서비스화’ 등이 제안됐다.
건전성 악화에 대응할 선제적 부채관리 등 자본관리 역량 강화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