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권 가계대출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융위원회가 12일 발표한 ‘2024년 5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올해 5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4월보다 5조4천억 원 늘었다. 전월 대비 증가폭도 4월 4조1천억 원보다 확대됐다. 지난해 10월(6조2천억 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2월과 3월 감소흐름을 보이다 4월 오름세로 전환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 원 증가했다. 5월 주택매매·전세거래량 회복, 은행재원 디딤돌·버팀목 대출 증가 영향으로 주담대가 5조7천억 원 늘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3천억 원 증가했다. 가정의 달 자금수요 등으로 4월(6천억 원)에 이어 오름세를 지속했지만 증가폭은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7천억 원 감소했다.
상호금융권(-1조6천억 원)이 감소세를 지속했다. 반면 여전사(7천억 원), 저축은행(1천억 원), 보험(1천억 원) 가계대출은 늘어났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09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보다 6조 원 늘었다.
금융위는 “금리와 주택시장 등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가계대출 증가폭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증가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관계부처, 민간 금융기관과 긴밀히 공조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금융위원회가 12일 발표한 ‘2024년 5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올해 5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4월보다 5조4천억 원 늘었다. 전월 대비 증가폭도 4월 4조1천억 원보다 확대됐다. 지난해 10월(6조2천억 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 5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주택담보대출 증가 영향으로 5조4천억 원 늘어났다고 금융위가 발표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2월과 3월 감소흐름을 보이다 4월 오름세로 전환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 원 증가했다. 5월 주택매매·전세거래량 회복, 은행재원 디딤돌·버팀목 대출 증가 영향으로 주담대가 5조7천억 원 늘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3천억 원 증가했다. 가정의 달 자금수요 등으로 4월(6천억 원)에 이어 오름세를 지속했지만 증가폭은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7천억 원 감소했다.
상호금융권(-1조6천억 원)이 감소세를 지속했다. 반면 여전사(7천억 원), 저축은행(1천억 원), 보험(1천억 원) 가계대출은 늘어났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09조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보다 6조 원 늘었다.
금융위는 “금리와 주택시장 등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가계대출 증가폭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증가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관계부처, 민간 금융기관과 긴밀히 공조해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