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03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지는 전기 가운데 70% 이상이 무탄소 전기로 충당된다.

원전은 최대 3기까지 추가로 건설하며 소형모듈원자로(SMR)을 활용한 미니 원전도 1기 짓는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 설비는 2038년까지 현재의 5배 수준으로 늘어난다.
 
2038년 원전+SMR 4기 짓고 비중 35%로 확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

▲ 정동욱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장이 3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제11차 전기본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총괄위원회는 3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브리핑을 열고 제11차 전기본 실무안(2024~2038년 적용)을 정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2년마다 앞으로 15년 동안의 전력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필요한 발전원을 미리 구상하는 중장기 계획인 전기본을 발표한다. 

총괄위는 2038년까지 목표로 하는 수요량 129.3GW(기가와트)에 예비율 22%를 적용해 2038년까지 157.8GW의 설비용량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2038년까지 확정 설비 물량은 147.2GW로 추산됐다. 태양광과 풍력 설비용량이 2022년 23GW에서 2030년 72GW로 확대돼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합의된 재생에너지 3배 확대 목표를 달성한다.

여기에 2038년이 되면 태양광과 풍력 설비용량은 115.5GW에 이르고 수력·바이오 등을 더하면 전체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119.5GW까지 증가한다.

이번 전기본에는 신규원전을 추가로 4기 건설하는 방안이 권고됐다.

총괄위는 2038년까지 필요한 설비용량 157.8GW에서 이미 설치가 예정된 147.2GW를 제외한 10.6GW의 발전소를 설비가 부족해지는 2031년부터 신규 건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은 원전으로 충당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2.2GW의 새로운 발전소가 필요한 2035년부터 2036년에는 0.7GW 규모의 차세대 미니 원전인 SMR이 건설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나머지 1.5GW는 무탄소 입찰시장을 도입해 최적의 전원을 결정하도록 제시했다.

2037년부터 2038년 사이에 필요한 4.4GW 신규설비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선 1.4GW 규모의 APR1400 대형원전이 3기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대형원전이 건설되는데 약 167개월(13년11개월)이 소모되는 것을 고려하면 당장 올해부터 원전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

2031년부터 2034년까지 필요한 나머지 4.0GW는 액화천연가스(LNG)를 활용한 열병합 발전, 수소 혼소 전환 조건부 열병합 발전, 무탄소 발전설비 등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총괄위는 이번 전기본에 담긴 신규원전 진입, 수소 발전 확대, 신재생 발전 증가를 통해 2023년 39.1%에 그쳤던 무탄소 에너지의 발전비중이 2038년 70.2%까지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구체적 비중을 살펴보면 2023년 원자력발전 30.7%, 재생에너지 8.4%에서 2038년 원자력 발전 35.6%, 신재생에너지 발전 32.9%, 수소·암모니아 발전 5.5%(수소연료전지·가스화 복합발전(IGCC) 3.8%는 제외)로 늘어나는 것이다. 

무탄소에너지는 원전, 신재생에너지, 수소 발전을 전부 더한 뒤 수소 발전에서 탄소가 배출되는 연료전지와 가스화 복합발전(IGCC)을 뺀 것을 뜻한다.

산업부는 “제11차 전기본은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조화로운 확대로 탄소중립에 적극 대응했다”며 “화석연료의 해외의존도 감소를 통해 에너지 안보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홍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