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와 대만 TSMC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졌다.
12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3년 4분기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점유율 11.3%를 차지했다. 지난해 3분기 점유율 12.4%에서 1.1%포인트 감소했다.
매출도 36억9천만 달러에서 36억1900만 달러로, 1.9%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TSMC 매출은 172조4900억 달러에서 196조5천억 달러로, 14% 늘었다.
파운드리 점유율도 57.9%에서 61.2%로 상승하며, 삼성전자와 격차를 49.9%포인트까지 벌렸다.
TSMC의 반도체 판매량 증가는 스마트폰, 노트북, 인공지능(AI) 관련 고성능컴퓨팅(HPC) 수요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4분기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스는 5.8%, 대만 UMC는 5.4%, 중국 SMIC는 5.2%의 점유율로 TSMC와 삼성전자의 뒤를 이었다.
글로벌 10대 파운드리 기업의 2023년 4분기 합산 매출은 304억8900만 달러로, 전분기보다 7.9% 증가했다.
트렌드포스 측은 “중저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주변 기기 전력반도체(PMIC) 같은 스마트폰 부품 수요가 파운드리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며 “애플 최신 기기 출시도 매출 확대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
12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3년 4분기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점유율 11.3%를 차지했다. 지난해 3분기 점유율 12.4%에서 1.1%포인트 감소했다.

▲ 삼성전자와 TSMC의 파운드리 점유율 격차가 2023년 4분기 더욱 벌어졌다.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 <삼성전자>
매출도 36억9천만 달러에서 36억1900만 달러로, 1.9%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TSMC 매출은 172조4900억 달러에서 196조5천억 달러로, 14% 늘었다.
파운드리 점유율도 57.9%에서 61.2%로 상승하며, 삼성전자와 격차를 49.9%포인트까지 벌렸다.
TSMC의 반도체 판매량 증가는 스마트폰, 노트북, 인공지능(AI) 관련 고성능컴퓨팅(HPC) 수요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4분기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스는 5.8%, 대만 UMC는 5.4%, 중국 SMIC는 5.2%의 점유율로 TSMC와 삼성전자의 뒤를 이었다.
글로벌 10대 파운드리 기업의 2023년 4분기 합산 매출은 304억8900만 달러로, 전분기보다 7.9% 증가했다.
트렌드포스 측은 “중저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주변 기기 전력반도체(PMIC) 같은 스마트폰 부품 수요가 파운드리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며 “애플 최신 기기 출시도 매출 확대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