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사들이 인력감원으로 극심한 노사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무급휴직이 고용을 보장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대안으로 부상하게 될지 주목된다.
조선3사는 올해 상반기에만 희망퇴직으로 최소 3천 명 이상을 내보냈는데 최근 들어 무조건적 인력감축보다 무급휴직을 도입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왼쪽부터)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
2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 조선계열사인 현대삼호중공업이 10월부터 창사 이래 처음으로 무급휴직을 실시하기로 하면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등도 무급휴직을 도입할지 조선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내년부터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1개월간 순환 무급휴가를 실시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생산직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방안도 협의하고 있다.
삼성중공업도 최근 수주부진이 계속될 경우 내년부터 무급휴직을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아직 무급휴직에 대한 방침을 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삼호중공업은 파견직과 계약직을 제외한 사무기술직을 대상으로 개인별 최소 3주의 무급휴직을 실시한다. 휴직기간에 기본급과 제수당, 고정연장근무수당, 월할상여 등이 공제된다.
현대삼호중공업은 극심한 수주가뭄이 계속되자 직원들의 고용을 보장하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무급휴직을 도입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조선회사들이 구조조정을 하더라도 경쟁력 유지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조선업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높은 기능을 보유한 인력인 만큼 희망퇴직 등으로 생산현장에서 물러나게 하는 것보다 무급휴직 등 고통을 분담하는 방안을 더욱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조선업이 3~5년 안에 다시 호황기가 올 수도 있는데 인력과 생산설비 감축 위주로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다”며 “기술 관련 핵심인력뿐 아니라 숙련공 등의 유출을 막아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핵심인력이 대거 유출됐던 일본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과거 글로벌 1위였던 일본의 조선업이 무너진 것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핵심인력을 대거 내보낸 탓”이라며 “어쩔 수 없이 회사를 떠났던 인력이 중국으로 넘어가게 될 경우 중국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3사에서 설계, 연구개발, 생산관리 등 핵심업무를 담당했던 퇴직자는 1091명으로 전체 퇴직자의 10%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정년퇴직한 인원은 100여 명에 그쳤으며 90% 이상이 정년 이외의 사유로 회사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