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닌텐도가 '스위치' 후속 제품을 비슷한 콘셉트로 출시한다면 주가를 방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닌텐도 게임콘솔 '스위치' 홍보용 이미지. <닌텐도>
다만 업계의 예상과 달리 차기 콘솔이 스위치와 완전히 다른 하드웨어 콘셉트의 제품으로 출시된다면 이러한 시나리오는 달라질 수 있다는 예측도 이어졌다.
블룸버그는 31일 증권사 골드만삭스 보고서를 인용해 “닌텐도의 현재 주가는 과대평가된 수준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닌텐도 주가는 지난해 연간 47%에 이르는 상승폭을 기록했고 올해 1월에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은 스위치 후속 제품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닌텐도의 향후 5년 순이익 전망을 고려할 때 차기 게임콘솔이 닌텐도에 스위치 출시 효과와 같은 수준의 수익성을 안겨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바라봤다.
하드웨어와 게임 판매성적이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맥쿼리그룹도 최근 보고서에서 닌텐도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낮추며 스위치 차기 콘솔이 발매된 뒤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주식을 매도하며 차익실현에 나설 잠재력이 있다고 전했다.
다만 골드만삭스는 스위치 후속 제품이 완전히 다른 하드웨어 콘셉트로 출시된다면 이러한 시나리오는 충분히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스위치가 2017년 출시 뒤 현재까지 1억3천만 대 이상의 판매량을 올리며 큰 성공을 거뒀지만 이와 비슷한 콘셉트의 후속 제품으로는 성과를 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다.
닌텐도는 아직 스위치 후속 제품과 관련한 정보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다. 2월6일 열리는 실적발표회를 통해 일부 계획이 공개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