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재생에너지 늘리고 중국 의존도 줄이고, 한국 기업에 기회 커져

▲ 독일 한 주택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설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체 촬영>

[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독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발표됐다. 독일이 정책적 의지를 갖고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하는 만큼 한국 기업에 기회요인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특히 독일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있는 태양광 모듈 분야, 한국 기업들이 이미 진출에 성공한 초고압 케이블 분야에서 시장 확대 기대가 높다.

3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독일 에너지 관련 규제기관 연방네트워크청(Bundesnetzagentur)이 지난해 독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전체 전력망의 5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독일 연방네트워크청에 따르면 전체에서 차지하는 지난해 재생에너지 부문별 비중은 해상풍력이 31.1%, 태양광이 12.1%, 바이오매스가 8.4%다. 나머지 3.4%는 수력 및 기타 재생에너지가 차지했다. 

로버트 하벡 독일 경제부 장관은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는 처음으로 재생에너지 비율 50%를 돌파했다”며 “(재생에너지 관련) 계획과 승인을 단순화하기 위한 우리의 조치가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4월 독일은 모든 원자력발전의 가동을 멈췄다. 또한 앞으로 대부분의 석탄 발전을 포기하고 가스 발전도 주로 ‘백업(back-up)’ 전력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로이터는 이를 놓고 “소비자가 자금을 지원하고 규제기관이 감독하는 (국가) 전력망은 중앙 화석연료 기반 발전에서 바람과 태양에 의존하는 분산형 저탄소 생산설비로의 지속적 전환을 촉진해야 한다”며 독일의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독일이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상황은 한국 기업에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문기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함부르크무역관은 지난해 11월 ‘독일 전력산업 현황과 우리 기업의 기회요인 분석’ 보고서를 통해 “독일은 전력산업에 있어 주 전력원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독일의 이러한 상황은 우리 기업에 수출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독일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전체의 80%까지 확대하고 2035년에는 완전히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2022년에는 다양한 지원책 등을 담아 재생에너지법(EEG)과 해상풍력에너지법(WindSeeG)를 개정하기도 했다.

태양광 모듈 시장에서는 독일이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려는 정책을 펴고 있어 한국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됐다.

문 무역관은 “2022년 기준 독일 태양광 모듈의 중국 수입 점유율은 86.5%”라며 “다만 독일 연방정부가 지난해 7월 대중국 무역 의존도를 낮추는 ‘중국 전략’을 발표했고 태양광 모듈에 있어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기업에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독일 유명 주간지 디차이트는 지난해 10월 ‘태양광 셀: 한국이 온다’라는 기사를 통해 독일의 태양광 산업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데 한화큐셀 등 한국 기업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독일 재생에너지 늘리고 중국 의존도 줄이고, 한국 기업에 기회 커져

▲   525kV(킬로볼트) 초고압 케이블 상용화 시험 장면. <LS전선>

증가하는 초고압 케이블 수요도 우리 기업이 수출을 늘릴 수 있는 창구로 꼽혔다. 

문 무역관은 “독일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을 전국으로 보낼 수 있는 전력망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며 “다수의 송전망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세계적 케이블 기술을 보유한 우리 기업 제품에 관한 수요 증가도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이에 독일 전력망 구축 사업에서 이미 수주 이력이 있는 대한전선과 LS전선이 수혜기업으로 꼽혔다.

문 무역관은 “다만 전력은 한 국가의 인프라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관련 프로젝트를 수주하거나 제품을 납품하기가 쉽지 않고 많은 사전 준비를 해야 한다”며 “따라서 우리 기업은 현지에서 요구되는 조건이 무엇이고 어떤 사전 준비가 필요한지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