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은행이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른 국내 총강수량 증가로 국내 1인당 지역내총생산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지원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18일 ‘국내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내 연 총강수량이 1m당 증가할 경우 국내 1인당 지역내총생산 성장률은 장기적으로 평균 2.54%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실외에 노출된 생산활동이 많고 노동생산성이 중요한 건설업(-9.84%)과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6.78%), 금융 및 보험업(-3.62%)이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기온이 1℃ 상승할 때에는 도매 및 소매업(-1.85%), 부동산업(-1.73%) 등에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예상됐다.
지역별 영향을 보면 국내에서도 위도상 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과 도시화 및 산업화 비중이 높은 광역시가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과장은 “국내 만성 기후리스크에 대한 각 지역별, 산업별 실물경제 성장 영향과 관련한 정량화된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불확실성으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기후변화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완화하고자 하는 기후대응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이지원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18일 ‘국내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내 연 총강수량이 1m당 증가할 경우 국내 1인당 지역내총생산 성장률은 장기적으로 평균 2.54%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 한국은행이 18일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른 국내 총강수량 증가로 국내 1인당 지역내총생산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실외에 노출된 생산활동이 많고 노동생산성이 중요한 건설업(-9.84%)과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6.78%), 금융 및 보험업(-3.62%)이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기온이 1℃ 상승할 때에는 도매 및 소매업(-1.85%), 부동산업(-1.73%) 등에 부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예상됐다.
지역별 영향을 보면 국내에서도 위도상 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과 도시화 및 산업화 비중이 높은 광역시가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과장은 “국내 만성 기후리스크에 대한 각 지역별, 산업별 실물경제 성장 영향과 관련한 정량화된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불확실성으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기후변화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완화하고자 하는 기후대응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