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대형 제약사들이 최근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면서 중소 제약사까지도 ‘칼바람’이 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가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약가 제도를 손질하면서 제네릭 비중이 높은 중소 제약사들의 수익성이 앞으로 더욱 나빠질 수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제약업계에 부는 구조조정 칼바람, 약가 인하 앞둬 중소제약사까지 영향권

▲ 2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국내 중대형 제약사들의 구조조정에 이어 중소 제약사들까지도 참여할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사진은 제약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2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제약사들이 줄줄이 구조조정에 들어간 상황에서 정부의 약가 인하 여파가 중소 제약사에게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대형 제약사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중소제약사들도 동참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며 “특히 제네릭 약가 인하와 맞물려 업계 전반에서 구조조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실 제약사는 안정적 직장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실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주요 제약바이오 회사들의 근속연수는 10년 이상이다.

2022년 기준으로 동화약품 직원 근속연수는 평균 12.7년으로 가장 길었고 유한양행도 12.6년 수준이다. 이는 같은 기간 삼성전자 평균 근속연수 12.5년보다 긴 수준이다.

하지만 올해는 제약사들의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올해 초 일동제약이 수익성 강화를 위해 구조조정을 시작한 이후 유유제약과 GC녹십자까지 이런 행렬에 동참한 것이다.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은 5월 임원 20% 이상을 감원하고 남은 임원의 급여 20% 반납, 차장급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80년 역사를 보유한 유유제약도 올해 영업조직 하나를 폐지하고 종합병원 사업부를 제외한 나머지 약국 사업부 운영을 중단했다.

GC녹십자는 현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으면서 전체 조직의 10%가 넘는 인원을 감축하고 있다.

이미 국내 중대형 제약사들이 구조조정에 돌입하면서 중소형 제약사들도 여기에 합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국내 상장 제약사들의 수익성은 떨어지고 있다.

코스피에 상장된 제약사 35곳의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률은 5.34%로 1년 전보다 0.69%포인트 축소됐다.

이뿐 아니라 내년부터 정부의 약가 인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복제약 중심의 사업구조를 가진 중소 제약사들로서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이미 올해 9월 복제약에 대한 1차 재평가 결과에 따라 약제급여 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 개정안을 의결하면서 7675개 품목의 상한금액이 낮아졌다.
 
제약업계에 부는 구조조정 칼바람, 약가 인하 앞둬 중소제약사까지 영향권

▲ 보건복지부가 2023년 8월31일 제16차 건강보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약제급여 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 개정안을 의결했다. <보건복지부>


물론 이 가운데 허가 및 등재만 된 상태로 판매를 하지 않는 제품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어 실질적 손실에 반영이 되지 않았지만 내년에 또 다시 복제약 약가 제도를 손질할 때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보건복지부는 현재 복제약 약가 정책 개편방안과 관련해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내년부터 급여 적정성 재평가 및 기준요건 재평가, 실거래가 약가 인하 등도 이어지면서 약가 인하 압박은 더욱 거세질 가능성이 크다.

2020년 기준요건 가격제도가 도입되면서 생동실험과 원료 등록을 하지 않은 복제약에 대한 약가를 인하했는데 최대 27%까지 낮아졌다.

제약업계는 정부가 이번에 사용량-약가 연동제에서 최대 인하율과 참고산식 차등방안을 개선해 실질적으로 더욱 인하가 강화될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다른 제약업계 관계자는 “국산 신약이 사실상 36개에 불과한 만큼 중소 제약사들은 대부분 복제약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혁신 신약을 장려하는 것은 좋지만 중소 제약사들로서는 약가 재평가 압박 속에서 약가인하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