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드사의 리볼빙(결제금액이월약정)과 카드론상품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20일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7개 전업카드사의 리볼빙서비스 연체액은 1500억 원, 연체율은 평균 2.38%으로 집계됐다.
연체액은 2021년 1분기 1천억 원에서 2년 만에 50% 가량 늘었고 연체율은 같은 기간 0.62%포인트 높아졌다.
리볼빙서비스는 결제대금이나 현금서비스 대금 중 일부만 갚고 나머지는 다음 달로 이월해 갚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카드이용자는 일시적으로 돈이 부족하면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서비스지만 수수료율이 법정최고금리인 20%에 이른다.
높은 수수료에도 리볼빙 서비스 이용은 늘고 있다. 카드값을 제때 상환할 수 없는 이용자들이 그만큼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
리볼빙 이월잔액은 2021년 1분기 기준 5조54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기준 7조3400억 원으로 2년 만에 32.5% 증가했다.
카드론의 연체액과 연체율도 큰 폭으로 늘었다.
연체액은 지난해 1분기 62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76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연체율은 같은 기간 1.79%에서 2.13%로 올랐다.
다만 카드론 이용액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기준금리 상승과 경기침체 여파로 분석된다.
올해 1분기 카드론 이용액은 10조 원 수준을 보였다. 2021년 1분기 13조 원에서 20% 넘게 줄었다.
카드론 평균 금리는 지난달 기준 12.87~14.56% 수준으로 집계됐다.
최승재 의원은 “카드론과 리볼빙서비스 연체율이 평균 2%를 넘어서고 일부 카드사에서는 3%를 넘어서는 등 계속해서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며 “고금리 카드론의 대환대출을 확대하고 리볼빙의 위험성 안내를 강화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준희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20일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7개 전업카드사의 리볼빙서비스 연체액은 1500억 원, 연체율은 평균 2.38%으로 집계됐다.

▲ 1분기 카드사의 리볼빙(결제금액이월약정)과 카드론서비스 연체율이 2%대로 올라섰다.
연체액은 2021년 1분기 1천억 원에서 2년 만에 50% 가량 늘었고 연체율은 같은 기간 0.62%포인트 높아졌다.
리볼빙서비스는 결제대금이나 현금서비스 대금 중 일부만 갚고 나머지는 다음 달로 이월해 갚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카드이용자는 일시적으로 돈이 부족하면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서비스지만 수수료율이 법정최고금리인 20%에 이른다.
높은 수수료에도 리볼빙 서비스 이용은 늘고 있다. 카드값을 제때 상환할 수 없는 이용자들이 그만큼 많아졌다고 볼 수 있다.
리볼빙 이월잔액은 2021년 1분기 기준 5조54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기준 7조3400억 원으로 2년 만에 32.5% 증가했다.
카드론의 연체액과 연체율도 큰 폭으로 늘었다.
연체액은 지난해 1분기 62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76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연체율은 같은 기간 1.79%에서 2.13%로 올랐다.
다만 카드론 이용액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기준금리 상승과 경기침체 여파로 분석된다.
올해 1분기 카드론 이용액은 10조 원 수준을 보였다. 2021년 1분기 13조 원에서 20% 넘게 줄었다.
카드론 평균 금리는 지난달 기준 12.87~14.56% 수준으로 집계됐다.
최승재 의원은 “카드론과 리볼빙서비스 연체율이 평균 2%를 넘어서고 일부 카드사에서는 3%를 넘어서는 등 계속해서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며 “고금리 카드론의 대환대출을 확대하고 리볼빙의 위험성 안내를 강화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