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47주 연속 하락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7일 기준 4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8% 내렸다. 하락폭은 지난주와 비교해 0.03%포인트 줄었다.
한국부동산원은 “추가 가격하락 기대와 매물적체 영향으로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급매물이 소진되고 일부 선호도 높은 지역이나 단지 위주로 수요가 발생하는 등 국지적으로 매물·거래 가격이 상승해 하락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4월 첫째주 0.13% 하락한 뒤 둘째 주 0.11%, 셋째 주 0.08% 하락하며 꾸준히 하락폭이 낮아지고 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12% 떨어졌다.
도봉구(-0.23%)는 도봉·방학·쌍문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21%)는 매물적체 영향 있는 제기·휘경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중구(-0.20%)는 만리·신당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떨어졌다.
강서구(-0.21%)는 방화·가양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구로구(-0.18%)는천왕·항·오류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관악구(-0.17%)는 봉천·신림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반면 송파구(0.04%)는 오금·문정동 소형 면적이나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초(0.04%)·강동구(0.01%)는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내림세를 이어갔지만 하락폭은 줄었다.
4월 셋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17%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주(-0.22%)보다 0.05%포인트 낮아졌다.
고양 일산서구(-0.42%)는 일산·탄현·대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군포시(-0.38%)는 산본·금정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한편 용인 처인구(0.24%)는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호재에 따른 남사읍 아파트 단지 위주로, 수원 영통구(0.07%)는 망포·영통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화성시(0.01%)도 동탄신도시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4월 셋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02% 내렸다. 하락폭은 지난주(-0.07%)와 비교해 0.05%포인트 축소됐다.
부평구(-0.12%)는 갈산·부개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동구(-0.10%)는 만석·송림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반면 서구(0.06%)는 신현·가정동 루원시티 대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용현·주안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연수구(0.01%)는 송도신도시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4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13% 떨어졌다. 하락폭은 지난주(-0.17%)보다 0.05%포인트 줄었다.
시도별로는 세종(0.17%)은 아파트값이 상승했고 대구(-0.29%), 부산(-0.22%), 울산(-0.19%), 제주(-0.14%), 대전(-0.13%), 광주(-0.13%), 전북(-0.12%), 경남(-0.11%) 등에서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1주 전과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17곳으로 7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2곳으로 1주 전과 같았고 하락지역은 157곳으로 1주 전과 비교해 7곳 감소했다. 류수재 기자
20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7일 기준 4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8% 내렸다. 하락폭은 지난주와 비교해 0.03%포인트 줄었다.

▲ 서울 아파트값이 47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한국부동산원은 “추가 가격하락 기대와 매물적체 영향으로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급매물이 소진되고 일부 선호도 높은 지역이나 단지 위주로 수요가 발생하는 등 국지적으로 매물·거래 가격이 상승해 하락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4월 첫째주 0.13% 하락한 뒤 둘째 주 0.11%, 셋째 주 0.08% 하락하며 꾸준히 하락폭이 낮아지고 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12% 떨어졌다.
도봉구(-0.23%)는 도봉·방학·쌍문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21%)는 매물적체 영향 있는 제기·휘경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중구(-0.20%)는 만리·신당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떨어졌다.
강서구(-0.21%)는 방화·가양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구로구(-0.18%)는천왕·항·오류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관악구(-0.17%)는 봉천·신림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반면 송파구(0.04%)는 오금·문정동 소형 면적이나 중저가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초(0.04%)·강동구(0.01%)는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내림세를 이어갔지만 하락폭은 줄었다.
4월 셋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17% 하락했다. 하락폭은 지난주(-0.22%)보다 0.05%포인트 낮아졌다.
고양 일산서구(-0.42%)는 일산·탄현·대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군포시(-0.38%)는 산본·금정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한편 용인 처인구(0.24%)는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호재에 따른 남사읍 아파트 단지 위주로, 수원 영통구(0.07%)는 망포·영통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화성시(0.01%)도 동탄신도시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4월 셋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02% 내렸다. 하락폭은 지난주(-0.07%)와 비교해 0.05%포인트 축소됐다.
부평구(-0.12%)는 갈산·부개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동구(-0.10%)는 만석·송림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반면 서구(0.06%)는 신현·가정동 루원시티 대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용현·주안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연수구(0.01%)는 송도신도시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4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13% 떨어졌다. 하락폭은 지난주(-0.17%)보다 0.05%포인트 줄었다.
시도별로는 세종(0.17%)은 아파트값이 상승했고 대구(-0.29%), 부산(-0.22%), 울산(-0.19%), 제주(-0.14%), 대전(-0.13%), 광주(-0.13%), 전북(-0.12%), 경남(-0.11%) 등에서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1주 전과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17곳으로 7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2곳으로 1주 전과 같았고 하락지역은 157곳으로 1주 전과 비교해 7곳 감소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