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증시에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가 평균적으로 저평가되는 ‘코리안 디스카운트’ 현상이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블룸버그의 전망이 나왔다.

윤석열 정부의 지나친 시장 개입이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에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한국 MSCI 선진국지수 편입 준비 안 됐다" 평가, 정부 시장 개입이 약점

▲ 한국이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시장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뉴스>


블룸버그는 6일 논평을 내고 “한국의 오랜 꿈이었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이 올해 현실화될 수도 있다”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낙관론이 퍼지며 한국 증시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MSCI 선진국 지수는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MSCI)이 선진국 증시에 상장된 종목을 편입해 구성하는 지표다. 해당 지수에 포함되면 투자자 유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한국은 오래 전부터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목표로 두고 있었지만 번번이 탈락했다.

지난해는 정부의 공매도 금지 규제와 해외 투자자에 불리한 형태의 정보 불균형, 외환 거래 부족 등이 해당 지수에 편입되기 어려운 이유로 제시됐다.

블룸버그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이 한국 증시의 약점이던 코리안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한국 증시가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면 그동안 신흥시장의 불확실성과 지배구조 문제,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 등으로 거리를 두던 해외 투자자들이 활발하게 유입될 공산이 크다.

윤석열 정부도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에 힘을 싣기 위해 공매도 규제를 폐지하고 외환 거래 시간을 연장하는 등 다양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윤석열 정부의 이러한 노력이 한국 증시를 시장친화적으로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 증시가 일반적으로 글로벌 행동주의 펀드에 배타적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행동주의 펀드의 참여는 시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런 효과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행동주의 펀드가 한국 기업 대주주로 참여해 지배구조 개선이나 주주환원 확대 등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았지만 이런 의견이 다수 주주의 지지를 받은 사례는 매우 드물다.

윤석열 정부가 시장 경제에 지나치게 개입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됐다. 최근 윤 대통령이 한국 은행들을 겨냥해 과도한 이자 수익과 성과급을 지적하는 발언을 내놓은 점이 대표적 사례로 꼽혔다.

그는 은행이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초과이익을 적극적으로 사회에 공유하고 환원해야 한다는 주문을 내놓았다.

블룸버그는 한국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이 금융주를 비롯한 증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바라보며 앞으로 윤석열 정부의 태도에 미래가 달려 있다고 바라봤다.

윤석열 정부가 금리 인상에 따라 금융시장에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가 투자자들에게 한국 증시의 매력을 높이기 위한 관건이라는 의미다.

블룸버그는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결국 선진국보다 신흥시장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지적하며 한국이 여전히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될 준비를 갖추지 못 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