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공인회계사들이 4분기에도 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29일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는 경제와 산업 전반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춘 회계법인의 파트너급 이상 전업 회계사와 기업체 임원급인 휴업 회계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은 ‘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CPA BSI)’를 발표했다.
4분기 공인회계사 현황 경기실사지수는 69로 조사됐다.
경기실사지수는 100을 기점으로 공인회계사가 경기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보여준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공인회계사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공인회계사보다 많을수록 수치는 100에서 낮아진다. 수치 범위는 0~200이다.
경기실사지수 69는 2020년 3분기(3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자(89), 철강(84), 석유화학(82), 건설(68) 등 산업은 산업별 현황 경기실사지수가 100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동차(109), 조선(109), 정보통신(109) 등 산업은 수치가 100을 웃돌았다.
한국공인회계사회는 금리 인상, 교역조건 악화 등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점 등을 고려해 어둡게 경기 전망을 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경기 판단의 주요 요인으로는 환율 및 금리, 유가를 포함한 원·부자재 가격, 수출 등을 꼽았다.
향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및 인플레이션(28%) △글로벌 경기흐름 (25%) △통화정책 방향 및 자금조달 환경 변화(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 (22%) 등을 꼽았다. 차화영 기자
29일 한국공인회계사회(KICPA)는 경제와 산업 전반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춘 회계법인의 파트너급 이상 전업 회계사와 기업체 임원급인 휴업 회계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은 ‘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CPA BSI)’를 발표했다.
▲ 공인회계사들은 4분기에도 경기 부진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4분기 공인회계사 현황 경기실사지수는 69로 조사됐다.
경기실사지수는 100을 기점으로 공인회계사가 경기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보여준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공인회계사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공인회계사보다 많을수록 수치는 100에서 낮아진다. 수치 범위는 0~200이다.
경기실사지수 69는 2020년 3분기(3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자(89), 철강(84), 석유화학(82), 건설(68) 등 산업은 산업별 현황 경기실사지수가 100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동차(109), 조선(109), 정보통신(109) 등 산업은 수치가 100을 웃돌았다.
한국공인회계사회는 금리 인상, 교역조건 악화 등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점 등을 고려해 어둡게 경기 전망을 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경기 판단의 주요 요인으로는 환율 및 금리, 유가를 포함한 원·부자재 가격, 수출 등을 꼽았다.
향후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및 인플레이션(28%) △글로벌 경기흐름 (25%) △통화정책 방향 및 자금조달 환경 변화(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 (22%) 등을 꼽았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