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수상한 해외송금 사례를 추가로 확인한 금융감독원이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를 진행한다.
2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상 외환송금 의혹과 관련해 이날부터 2주간 KB국민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들어갔다.
금융감독원은 일부 지방은행을 상대로도 서면조사를 진행한 뒤 현장검사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에서 이상 외환송금 거래를 확인한 이후 다른 은행들에게도 자체점검을 진행해 보고하도록 했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은행권 자체점검 결과 이상 외환송금 의심거래는 26개사(중복 제외 때 23개사), 31억5천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7월27일 금융감독원의 중간발표 때보다 2천만 달러가 증가한 수치다.
은행권 자제검사 결과에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검사에서 확인된 33억9천만 달러를 포함하면 전체 의심거래액은 65억4천만 달러까지 늘어난다. 조승리 기자
2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상 외환송금 의혹과 관련해 이날부터 2주간 KB국민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들어갔다.
▲ 금융감독원은 이상 외환송금 의혹과 관련해 이날부터 2주간 KB국민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을 대상으로 현장검사에 들어갔다.
금융감독원은 일부 지방은행을 상대로도 서면조사를 진행한 뒤 현장검사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에서 이상 외환송금 거래를 확인한 이후 다른 은행들에게도 자체점검을 진행해 보고하도록 했다.
금융감독원은 16일 은행권 자체점검 결과 이상 외환송금 의심거래는 26개사(중복 제외 때 23개사), 31억5천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7월27일 금융감독원의 중간발표 때보다 2천만 달러가 증가한 수치다.
은행권 자제검사 결과에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검사에서 확인된 33억9천만 달러를 포함하면 전체 의심거래액은 65억4천만 달러까지 늘어난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