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1만 명 이상 발생했다. 코로나 유행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9일 오전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은 지난 6월9일 이후 20일 만에 처음으로 확진자 수가 1만 명을 넘었다"며 "감염재생산지수(Rt)도 4월 말 0.7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계속 증가해 어제 1.0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이 총괄조정관은 "감염재생산지수가 1을 넘었다는 건 코로나 유행이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한 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다. 이 지수가 1 이상이면 유행이 확산하고 1 미만이면 유행이 억제된다.
최근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여름철 이동량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총괄조정관은 "어느 때보다 선제적 방역조치가 필요한 시기다"고 말했다.
그는 "관계부처와 지자체에서는 그간 집단감염이 빈번했던 소관 시설 방역관리를 먼저 나서서 챙겨달라"며 "교정시설, 도축장, 외국인 밀집시설, 학원, 종교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방역당국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도 코로나 유행 감소세가 한계에 도달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감소세가 한계에 도달해 있는 상황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며 "지난 3월 정점 이후 현재까지 감소세가 유지돼 왔으나 최근 감소세가 둔화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임 총괄단장은 "당분간 현재 수준에서 다소간 증가 내지 감소하는 등락을 반복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다만 재유행의 시작점으로 판단하기엔 이르다며 확진자 수, 위중증·사망지표 등의 추이를 종합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서아 기자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9일 오전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은 지난 6월9일 이후 20일 만에 처음으로 확진자 수가 1만 명을 넘었다"며 "감염재생산지수(Rt)도 4월 말 0.7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계속 증가해 어제 1.0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 코로나19 선별진료소 모습. <연합뉴스>
이 총괄조정관은 "감염재생산지수가 1을 넘었다는 건 코로나 유행이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됐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한 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다. 이 지수가 1 이상이면 유행이 확산하고 1 미만이면 유행이 억제된다.
최근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여름철 이동량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총괄조정관은 "어느 때보다 선제적 방역조치가 필요한 시기다"고 말했다.
그는 "관계부처와 지자체에서는 그간 집단감염이 빈번했던 소관 시설 방역관리를 먼저 나서서 챙겨달라"며 "교정시설, 도축장, 외국인 밀집시설, 학원, 종교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의 특성에 맞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방역당국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도 코로나 유행 감소세가 한계에 도달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감소세가 한계에 도달해 있는 상황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며 "지난 3월 정점 이후 현재까지 감소세가 유지돼 왔으나 최근 감소세가 둔화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임 총괄단장은 "당분간 현재 수준에서 다소간 증가 내지 감소하는 등락을 반복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다만 재유행의 시작점으로 판단하기엔 이르다며 확진자 수, 위중증·사망지표 등의 추이를 종합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