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대우건설 등 국내 대형 건설사들의 해외사업 미청구공사액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일부 미청구공사액을 제외하면 추가손실 위험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광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7일 “대형 건설회사의 미청구공사액이 사업보고서에 공개되면서 해외 저수익공사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위험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위험이 감소하고 있는 데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
|
|
▲ 박중흠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
이 연구원은 저수익 해외공사가 준공되면서 재무제표에 일시적인 손실이 반영되는 것은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신호라고 해석해야 한다고 봤다.
미청구공사는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못한 미수채권을 가리킨다. 발주처가 건설업체의 공정률을 인정하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하는데 보통 위험자산으로 분류된다.
매출채권보다 회수기간이 길고 떼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손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지 않아 대금 회수에 실패할 경우 장부상 이익은 바로 손실로 전환된다.
이 연구원은 “공사진행률이 높은 현장에 일부 미청구공사액이 남아있지만 원가투입이 거의 완료돼 향후 추가적인 현금투입은 제한적”이라며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대손충당비용은 현금투입과 관련 없는 회계적인 정산과정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 건설사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사업에서 공사진행률이 95%를 넘은 현장의 미청구공사액은 삼성엔지니어링이 약 7천억 원으로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GS건설이 4400억 원, 대우건설이 1600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현대건설은 미청구공사액이 400억 원 수준으로 대형건설사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원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판단해 공사진행률 95% 이상인 프로젝트의 모든 미청구공사액이 대손처리될 가능성도 있다”면서 “그러나 준공이 승인된 뒤 발주처에 미청구공사액을 청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