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미시간주 배터리 합작공장(왼쪽) 및 SK온과 포드의 합작공장 조감도.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연임을 노리는 주지사들이 지역경제 활성화 성과를 노려 각 주에 대규모 생산공장 유치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미 미국에 반도체 및 배터리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삼성과 SK그룹, LG그룹이 잇따라 중장기 투자계획을 제시하며 한국 기업의 공장 건설을 유도하려는 이들의 노력에 더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3사가 미국에 내놓은 시설투자 계획은 올해 들어서만 130억 달러(약 16조4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오하이오주와 테네시주, 미시간주에 각각 GM과 합작공장을 신설하기로 했고 SK온은 조지아주 및 테네시주와 켄터키주, 삼성SDI는 인디애나주에 새 배터리공장을 건설한다.
미국 바이든 정부가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친환경 에너지산업 육성을 적극 장려하는 정책을 펴고 있는 만큼 미국 내 배터리 수요는 앞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배터리뿐 아니라 삼성전자는 텍사스주에 반도체 파운드리공장을, 현대자동차는 조지아주에 전기차 생산공장을 신설하는 계획을 내놓으며 한국 대기업들의 미국 투자 확대가 본격화되고 있다.
삼성과 SK, LG그룹이 잇따라 대규모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윤석열 정부도 미국과 협력 강화를 강조하는 만큼 앞으로 한국 대기업의 미국 생산공장 투자가 더 활성화될 공산이 크다.
삼성은 앞으로 5년 동안 해외에 약 90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SK그룹은 68조 원을 해외 투자에 활용하기로 했다. LG그룹도 글로벌 공급망 대응을 위해 해외 투자를 늘릴 계획을 제시했다.
미국 내 제조시설 투자가 이들 기업의 투자금액 가운데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의 공장 유치를 위한 미국 각 주의 지역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한국 기업들이 최근 공격적으로 미국에 배터리와 반도체 시설투자 계획을 발표한 데는 주 정부 차원의 강력한 보조금과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가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내 주지사들이 11월 선거를 통해 연임 여부를 결정짓는 만큼 한국 기업의 공장 투자 유치를 자신의 성과로 앞세워 지역 주민들의 표심을 얻는 발판으로 삼으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히 주 정부 차원에서 해당 지역에 공장을 유치하려는 경쟁도 매우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삼성SDI와 스텔란티스가 배터리 합작공장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도 미시간주와 일리노이주 등이 치열한 경합을 벌인 끝에 인디애나주가 대규모 보조금을 앞세워 승기를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정부 차원에서 한국 기업의 생산공장 유치에 지나치게 많은 지원을 약속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세금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비판이 고개를 들고 있을 정도다.
그러나 대규모 공장 건설은 수천 명의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성과로 꼽히고 있어 주지사들의 주도로 유치 경쟁에 계속해 불이 붙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지사들은 선거 캠페인을 본격화하기 전까지 한국 기업들의 공장 투자에 확답을 받아야만 하는 만큼 삼성과 SK, LG의 대규모 투자 계획에 반응해 더 적극적으로 러브콜을 보낼 가능성이 크다.
한국 기업들도 주 정부 차원의 지원에 힘입어 더 유리한 조건으로 미국 내 생산공장 투자를 진행하게 될 수 있어 이는 ‘윈-윈’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미시간주와 일리노이주는 이미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합작공장 투자 유치에 실패한 데 따라 다른 기업의 생산공장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삼성은 반도체와 바이오 등 신성장산업 중심의 투자 계획을 예고했고 SK그룹은 여기에 더해 배터리 분야에 중장기 투자를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LG그룹은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 자동차 전장부품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해당 산업은 모두 미국 바이든 정부에서 투자 확대를 장려하는 산업 분야에 해당하기 때문에 미국 내 생산투자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기대할 수 있다.
로이터는 “중국에 공급망 의존을 맞추려는 바이든 정부의 노력에 발맞춰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생산 투자가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