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모빌리티가 기업공개(IPO)를 위한 발판 마련에 공을 들이고 있는 과정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라는 악재를 만났다.

류긍선 대표이사가 카카오모빌리티의 '콜 몰아주기' 의혹을 직접 겨누고 있는 공정위의 칼날에 어떻게 대응할지 시선이 몰린다.
 
카카오모빌리티 상장 길 험난, 류긍선 '공정위 대응'에 상생도 챙겨야

▲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이사가 상장으로 가는 험난한 길을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


27일 카카오모빌리티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으로 약 한 달 정도의 기간 안에 공정위 심사보고서에 대한 의견서를 제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위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의견서를 검토한 후 공정거래위원장을 포함한 9명의 위원이 참여하는 전원회의, 카카오모빌리티가 참석하는 구두심의 등을 거쳐 제재 수위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공정위 홈페이지의 공정거래법 위반시 조치를 살펴보면 카카오모빌리티의 콜 몰아주기 의혹에 대한 제재가 확정됐을 때에는 택시배차와 관련된 매출의 최대 2%에 해당하는 금액이 과징금으로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카카오모빌리티는 불공정거래행위의 중지, 시정명령을 받은 사실의 공표, 시정을 위한 조치 등도 해야된다.

공정위의 조사과정에서 또 다른 법 위반 사항이 확인되면 추가 제재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공정위 관계자는 "제재 의견이 담긴 심사보고서를 보내긴 했지만 아직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제재를 확정한 것은 아니다"며 "어떤 것을 문제 삼았고 어떤 것이 위법인지는 지금 확인해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류 대표는 먼저 공정위를 상대로 오해를 소명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공정위의 제재가 확정된다면 기업가치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배차 시스템은 소비자와 기사 편익을 모두 확대하는 방향으로 설계됐음을 설명해왔으나 이런 점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의견서 제출 및 전원회의 절차 동안 배차 시스템에 대한 오해를 적극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문제와 관련해 류 대표가 상장을 다시 미룰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선 초기 투자사인 글로벌 사모펀드 텍사스퍼시픽그룹의 투자금 회수의지가 강하다는 점이 첫번째 이유로 꼽힌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9월 상장 연기를 결정한 뒤 12월에 재개 방침을 내놓고 올해 3월 중순 주관사를 선정했는데 여기에는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텍사스퍼시픽그룹과 한국투자증권, 오릭스 등으로 이이뤄진 TPG컨소시엄은 카카오모빌리티에 6307억 원을 투자했다.

TPG컨소시엄은 카카오모빌리티에 2017년 첫 투자를 단행했던 만큼 올해 투자금을 회수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의 일정 대로 상장을 추진해도 올해 안에 기업공개를 마무리하기가 빠듯한 점도 류 대표가 상장 일정을 조정하기보다 문제 해소를 우선할 것이라는 시선이 힘을 보탠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상장 주관사 선정 이후 실사를 거쳐 한국거래소에 예비심사를 청구하기까지는 대략 4~5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또 예비심사를 거친 뒤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기까지 4~5개월이 더 소요된다. 류 대표가 올해 안에 기업공개를 마무리한다고 장담하기 어려울 수 있는 셈이다.

류 대표는 공정위 소명과 함께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행보도 계속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공개를 추진하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는 상생을 위한 활동을 점차 늘려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류 대표는 이달 7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카카오그룹이 조성하는 3천억 원의 상생기금 가운데 500억 원을 카카오모빌리티가 담당한다고 밝혔다. 이 규모는 카카오모빌리티 2021년 영업이익(127억 원)의 3.94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류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카카오모빌리티는 7년 동안 ‘상생형 혁신'을 통해 모빌리티 성장 모델을 구축해왔다"며 “앞으로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해외 진출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달 4일 논란이 되는 배차 시스템의 구조를 공개하며 배차시스템의 투명성을 강조했다.

이에 앞서 3월에는 상생자문위원회와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 활동 개시, 카카오T 블루 가맹협의체와 논의한 상생 방안 실천, 서울개인택시조합과 업무협력관계 구축,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과 단체교섭 등을 추진한 바 있다. 안정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