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사들이 이란에서 수주를 할 수 있을지 여부가 하반기나 돼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윤석모 삼성증권 연구원은 4일 “국내 건설사들이 이란에서 양해각서와 합의각서, 가계약체결 단계를 진행하고 있어 실제 수주 여부는 하반기 안에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며 “플랜트 등 계약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점을 감안할 때 대규모 자금조달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
▲ 박근혜 대통령이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2일 사드아바드 좀후리궁 로비에서 협정서명식을 마친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국내 건설사는 이란 건설·플랜트 부문에서 양해각서(100억 달러), 합의각서(30억 달러), 가계약(53억 달러) 등을 체결하고 수주를 추진하고 있다.
윤 연구원은 정부가 국내 건설사의 이란 진출을 돕기 위해 내놓고 있는 금융조달 방안이 프로젝트 수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출입은행은 이란 중앙은행과 90억 달러 규모의 수출금융 기본여신약정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모두 150억 달러 규모에 이르는 금융패키지를 마련했다고 3일 밝혔다.
정부는 무역보험공사와 금융지원협의체를 통해서도 모두 10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윤 연구원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건설과 플랜트 등 규모가 큰 공사의 계약 체결은 하반기 안에 가시화될 것”이라며 “병원과 인프라 등 규모가 작은 공사의 경우 금융조달이 비교적 용이해 이른 시일 안에 신규 수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내 건설사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방문을 계기로 이란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란은 2010년 UN 안전보장이사회의 대이란 경제제재 이전에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고 6위를 기록한 국가다.
국내 건설사들은 과거 이란에서 사우스파 가스전 개발(50억 달러), 반다르압바스-바프간 철도건설(4억3천만 달러) 등 대규모 인프라·플랜트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경제제재 조치 이후 다수의 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취소됐다.
시장조사기관 BMI에 따르면 이란 건설시장은 경제제재 조치가 해제된 뒤 매년 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이란 건설시장은 2015년 300억 달러 규모에서 2017년 440억 달러, 2023년 1170억 달러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