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최정우 회장은 수소기업협의체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함께 공동의장을 맡아 국내 주요기업의 수소동맹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포스코그룹 자체적으로도 수소 생산뿐 아니라 수소저장탱크, 수소연료전지 등 저장-유통-활용 가치사슬 확보를 위해 다른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 선진국을 중심으로 탄소 배출과 관련해 세금을 매기는 ‘탄소세’ 도입 등 환경규제 움직임이 빨라지지만 수소환원제철처럼 차세대 공법으로 근본적 공정 변화를 꾀하지 않는 이상 탄소배출을 줄이기 쉽지 않아서다.
제철소에서 쇳물을 생산할 때 환원제로 석탄을 사용하고 있는데 수소환원제철은 이 환원제를 수소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제철소 공법에서는 용광로에 철광석과 함께 석탄을 투입해 1500도 이상에서 녹이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철광석에서 산소가 분리되며 쇳물을 생산한다.
하지만 석탄을 쓰지 않으려면 막대한 수소와 함께 전기에너지가 별도로 필요하다.
현재 포스코는 제철공정에서 나오는 부생가스를 활용해 자체적 에너지 조달에도 사용한다. 하지만 석탄을 쓰지 않으면 부생가스도 사라지는 만큼 쇳물을 만들고 철강제품으로 바꾸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사실상 모두 외부에서 조달해야 한다.
포스코로서는 탄소중립에 필요한 수소환원제철 공법 도입을 위해 기술 개발뿐 아니라 한국에서 수소에너지발전 등 수소에너지 상용화가 필수적이다.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공법을 도입하게 되면 공정에 필요한 수소 수요만 연간 375만 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에너지원을 수소·암모니아발전소로 전환하면 추가적으로 100만 톤 이상의 수소가 필요하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탄소규제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최 회장은 수소경제로 빠른 전환이 절실하다.
특히 최 회장이 지난해 내놨던 포스코의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중장기 탄소배출 저감계획보다 유럽연합의 탄소세 과세 움직임이 빨라 수소 인프라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7월14일 탈탄소쟁책의 일환으로 철강과 시멘트, 비료, 알루미늄, 전기 등 5개 분야에서 2023년부터 3년 동안의 과도기를 거쳐 2026년에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전면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탄소세로도 불리는데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엄격한 나라에서 규제가 약한 나라로 생산시설을 옮기지 못하도록 일종의 벌칙을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도 유럽연합처럼 상원의회를 중심으로 민주당에서 탄소집약적 제품과 관련해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포함하기 위해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포스코로서는 새로운 무역 장벽을 넘어야하는 과제가 무거워졌다.
물론 국내 철강제품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 제품보다는 포스코가 탄소국경세로 피해를 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생산비용이 높아져 경쟁력 하락에 직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최 회장은 8일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 H2 비즈니스 서밋’행사에 참석해 “철강은 연간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이 많을 수밖에 없는 기간산업이다”며 “따라서 국가의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포스코가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 우리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해 철강 제조공정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