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 정부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한 것은 가상화폐의 제도권 진입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실험이 될 수 있다고 미국언론이 바라봤다.

블룸버그는 8일 “비트코인의 12년 역사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실험이 시작됐다”며 “다만 초반부터 험난한 길이 이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언론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사용은 가상화폐 제도화 중요한 실험"

▲ 비트코인 가상 이미지.


엘살바도르 정부는 7일부터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지정해 사용하기 시작했다.

현재 엘살바도르에서 사용되는 공식화폐는 미국 달러인데 비트코인도 법정화폐로 지정되면서 현지에 있는 모든 상점은 반드시 비트코인으로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이 법정화폐로 지정된 첫날부터 비트코인 지갑 플랫폼이 이상을 겪어 일시적으로 결제가 이뤄지지 않는 등 불안한 모습이 나타났다.

7일 미국 주요 가상화폐거래소에서 비트코인 시세는 하루만에 17%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가상화폐 낙관론자와 비관론자가 모두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정화폐 활용에 따른 결과를 지켜보게 될 것이다”며 “실험이 성공적이라면 다른 남미 국가도 비슷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모든 국민에게 30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지급하고 비트코인을 달러로 바꿀 수 있는 자동화기기를 대대적으로 설치하는 등 비트코인 거래 활성화를 적극 주도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엘살바도르 국가경제는 해외에서 달러로 벌어들이는 자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비트코인 활용이 수수료 감축으로 이어져 긍정적 효과를 낼 수도 있다”고 바라봤다.

그러나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정화폐 지정을 두고 급격한 시세 변동 등에 따른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블룸버그는 전문가 분석을 인용해 “가상화폐는 매력적이지만 아직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않아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특히 엘살바도르와 같이 경제상황이 불안한 국가에는 위험이 더 크다”고 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