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출생아 사상 첫 20만 명대, 합계출산율 0.84로 역대 최저

▲ 출산통계 추이. <통계청>

2020년 출생아 수가 최초로 20만 명대까지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이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꼴찌인 0.84명이다.

25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0년 출생 통계(확정)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3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300명(10.0%) 감소했다. 연간 출생아 수가 20만 명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출생아 수는 2001년 55만9900명었는데 9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연간 출생아 수는 1970년 100만 명대였는데 2001년 50만 명대로 줄었다. 그 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 동안 40만 명대였다.

하지만 2017년 처음 30만 명대로 내려앉은 뒤 불과 3년 만인 2020년 20만 명대까지 떨어졌다.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지난해 5.3명으로 2019년보다 0.6명 감소했다. 이 역시 역대 최저치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0.84명이었다. 2019년과 비교해 0.08명 감소한 수치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0.98명), 2019년(0.92명)에 이어 3년 연속으로 1명 미만을 보였다.

1명 미만의 합계출산율은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나라는 한국뿐이다.

시도별로는 세종(1.28명), 전남(1.15명), 강원(1.04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높고 서울(0.64명), 부산(0.75명), 대전(0.81명) 순으로 낮았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초반 여성이 아이를 가장 많이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30∼34세)이 78.9명으로 가장 높다.

30대 후반(35∼39세)은 42.3명, 20대 후반(25∼29세)이 30.6명, 40대 초반(40∼44세) 7.1명, 20대 초반(20∼24세)이 6.2명이다.

2019년과 비교하면 연령별 출산율은 40대 초반만 0.1명 늘었고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감소했다.

여성 평균 출산연령은 33.1세다. 1년 전보다 0.1세 상승했다. 

첫째 아이는 32.3세, 둘째 아이는 33.9세, 셋째 아이는 35.3세였다.

35세가 넘는 고령 산모 비중은 33.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늘었다.

출생아 아버지의 평균연령은 35.8세로 1년 전보다 0.1세 상승했다.

여아 100명 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성비는 104.8명으로 2019년과 비교해 0.7명 감소했다. 첫째 아이는 104.8명, 둘째 아이는 104.7명, 셋째 아이 이상은 106.6명이다.

통계청은 출생성비 정상범위가 103~107명이라고 설명했다.

출생성비는 1990년대 110명 안팎을 넘나들다가 2000년대 100명대로 내려왔다. 그 뒤 2007년 106.2명으로 정상범위에 진입한 뒤 계속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첫째 아이 출산 때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3년, 둘째아는 4.8년, 셋째아 이상은 7.4년이었다.

혼인 가운데 출생아는 97.5%(26만5300명), 혼인 외 출생아는 2.5%(6900명)였다. 

혼인 가운데 출생아 비중이 0.2%포인트 줄어들었고 그만큼 혼인 외 출생아 비중이 늘었다.

전체 출생아 가운데 다태아 비중은 4.9%(1만3300명)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쌍둥이가 1만2900명, 세쌍둥이 이상이 300명이다.

조산아(37주 미만 출생아)가 모든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5%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출생아 평균체중은 3.2㎏으로 2019년과 유사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