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2021-08-04 14:48:01
확대축소
공유하기
고승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에 얼마나 힘을 더할까?
고 위원은 관료출신이지만 실물경제보다 금융안정에 중심을 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금융위원장과 한국은행 총재로부터 연달아 선택받은 최초의 연임 금융통화위원으로서 영향력이 작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 고승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고승범 위원은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유일하게 소수의견으로 금리인상 목소리를 냈다. 2020년 5월 기준금리가 0.50%로 낮아진 이후 금융통화위원회 안에서 처음으로 나온 금리인상 목소리다.
고 위원은 “실물경제 상황과 달리 금융안정을 고려하면 통화정책 완화정도의 조정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 불확실성에 마음이 무거우나 금융안정에 더 가중치를 둬 이번에 기준금리를 0.50%에서 0.75%로 상향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JP모건은 고 위원이 7월 회의에서 이전보다 더 매파 성향으로 기울었다고 분석했다. 매파는 통화긴축과 금리인상을 선호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JP모건은 8월26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고 위원의 금리인상 의견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 등이 동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 위원이 금리인상의 선봉 역할을 하게 되는 셈이다.
코로나19 재확산이 변수이기는 하지만 고 위원의 금리인상 의견은 8월에도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7월 회의 때 고 위원은 “코로나19 급격한 확산추세로 기대한 회복흐름이 약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인정하면서도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비상조치들의 질서있는 정상화에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 위원은 금융위원회를 거친 경제관료출신이다. 일반적으로 관료는 실물경제와 경제성장을 중시하는 편이라 고 위원이 금리인상 소수의견을 낸 것은 다소 의외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고 위원은 금융위원회 시절 가계대출 관리와 카드회사·저축은행 부실 대응을 주도하는 등 금융 리스크를 일선에서 겪었다. 참여정부 때 금융정책국장으로서 부동산가격 폭등에 대응해 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이때의 경험이 금융불균형의 위험을 크게 인식하고 부채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성향으로 자리잡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 위원은 7월 회의 때 “최근 정부 대책에도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부동산시장 등 자산시장으로의 자금흐름이 지속되고 있어 우려된다”며 “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 과도한 부채부담으로 금리 정상화가 불가능해지는 부채함정에 빠질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고 위원은 관료출신답게 재정정책을 향한 신뢰를 보내기도 했다.
그는 “금리인상에 따른 취약계층의 부담 증대문제는 선별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재정정책으로 대응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부채증가 속도와 규모를 제어하기 위한 거시건전성정책도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 위원은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사학위, 미국 아메리칸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시 28회로 공직에 입문해 재무부, 재정경제부에서 근무했고 금융위원회에서 감독정책과장, 기획행정실장, 금융정책국장, 사무처장, 상임위원 등을 지냈다.
2016년 임종룡 당시 금융위원장의 추천으로 금융통화위원에 선임됐다. 금융위원회 출신으로서 위원장 추천을 받아 금융통화위원에 오른 첫 사례였다.
4년 임기를 마친 뒤 2020년에는 이주열 총재 추천을 받아 연임에 성공했다. 금융통화위원을 연임한 전례가 없는 데다 금융위원장 추천 인사로서 한국은행 총재 추천을 받게 돼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 총재와 금융통화정책을 바라보는 시각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고 봐도 되는 셈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