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대산업개발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약금 소송과 관련해 주주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법적 대응을 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이 제기한 계약금 몰취(박탈)소송과 관련해 “HDC현대산업개발의 권리 및 주주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법적 대응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폭넓은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16일 공시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최근 김앤장법률사무소를 소송 대리임으로 선임하면서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아직까지 구체적 대응 방안은 밝히지 않았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구체적 대응조치 및 그 외 공시사항이 발생하면 재공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은 5일 계약금 2500억 원에 설정된 HDC현대산업개발의 질권을 해지하기 위해 서울지방법원에 소송을 냈다.
이와 관련해 HDC현대산업개발은 “13일 아시아나항공 및 금호산업이 제기한 질권소멸 통지 등 청구소송의 소장을 송달받았다”고 공시하면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약금 2500억 원을 돌려받기 위한 법적 대응을 공식화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2019년 12월 2조1772억 원 규모의 아시아나항공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금호산업으로부터 아시아나항공 구주를 3228억 원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모두 2500억 원을 계약금으로 냈다.
당시 HDC현대산업개발은 계약금을 계약 당사자 일방이 돈을 빼낼 수 없도록 만든 에스크로계좌에 넣어뒀다. 에스크로계좌는 입금이 자유로우나 출금이 제한되는 특수계좌를 말한다.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이 HDC현대산업개발의 동의를 얻지 못한다면 법원의 질권 해지 판결을 받아야만 이 돈을 사용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은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이 제기한 계약금 몰취(박탈)소송과 관련해 “HDC현대산업개발의 권리 및 주주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법적 대응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폭넓은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16일 공시했다.

▲ (왼쪽부터)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정몽규 HDC그룹 회장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HDC현대산업개발은 최근 김앤장법률사무소를 소송 대리임으로 선임하면서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아직까지 구체적 대응 방안은 밝히지 않았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구체적 대응조치 및 그 외 공시사항이 발생하면 재공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은 5일 계약금 2500억 원에 설정된 HDC현대산업개발의 질권을 해지하기 위해 서울지방법원에 소송을 냈다.
이와 관련해 HDC현대산업개발은 “13일 아시아나항공 및 금호산업이 제기한 질권소멸 통지 등 청구소송의 소장을 송달받았다”고 공시하면서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약금 2500억 원을 돌려받기 위한 법적 대응을 공식화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2019년 12월 2조1772억 원 규모의 아시아나항공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금호산업으로부터 아시아나항공 구주를 3228억 원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모두 2500억 원을 계약금으로 냈다.
당시 HDC현대산업개발은 계약금을 계약 당사자 일방이 돈을 빼낼 수 없도록 만든 에스크로계좌에 넣어뒀다. 에스크로계좌는 입금이 자유로우나 출금이 제한되는 특수계좌를 말한다.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이 HDC현대산업개발의 동의를 얻지 못한다면 법원의 질권 해지 판결을 받아야만 이 돈을 사용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