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이 도심항공 모빌리티(UAM)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최광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 모빌리티사업을 바탕으로 방산에서 민수로, 방어주에서 성장주로 나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 모빌리티, 이른바 하늘을 나는 자동차사업을 위해 지난해 미국 에어택시 개발업체 ‘오버에어’에 300억 원을 투자해 지분 30%를 인수했다.
오버에어는 현재 도심항공 모빌리티시장 선도업체로 꼽히는 우버에 공급할 전동 수직이착륙 비행기 ‘버터플라이’를 개발하고 있다. 2023년 시제기 제작, 2025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한다.
최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의 오버에어 투자는 단순한 지분투자가 아닌 공동사업 성격이어서 의미가 더욱 크다”며 “한화시스템은 그동안 방산부문에서 축적한 신뢰성 높은 표적획득, 감지, 추적 레이다 및 센서 기술 등을 활용해 오버에어와 에어택시를 함께 개발한다”고 파악했다.
한화시스템이 최근 영국 통신안테나 벤처기업 ‘페이저솔루션’을 인수한 것도 도심항공 모빌리티사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 연구원은 “페이저솔루션의 안테나기술은 장차 기지국이 필요 없는 우주 인터넷시대의 핵심장비가 될 것”이라며 “페이저솔루션의 장비는 항공기의 고품질 무선인터넷서비스, 자율주행차, 우버 에어택시사업 등에 활용돼 4차산업혁명시대 눈, 코, 입, 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최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의 성장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1만 원에서 1만4천 원으로 40%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한화시스템 주가는 16일 93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은 기업공개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2개 신규사업에 투자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한화그룹이 최근 미국 수소트럭업체 니콜라 투자에 성공해 지분가치가 크게 상승한 상황이 우버 에어택시가 상용화할 때 한화시스템에도 일어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화시스템은 2020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6750억 원, 영업이익 9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8%, 영업이익은 10%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최광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 모빌리티사업을 바탕으로 방산에서 민수로, 방어주에서 성장주로 나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 김연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 사장.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 모빌리티, 이른바 하늘을 나는 자동차사업을 위해 지난해 미국 에어택시 개발업체 ‘오버에어’에 300억 원을 투자해 지분 30%를 인수했다.
오버에어는 현재 도심항공 모빌리티시장 선도업체로 꼽히는 우버에 공급할 전동 수직이착륙 비행기 ‘버터플라이’를 개발하고 있다. 2023년 시제기 제작, 2025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한다.
최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의 오버에어 투자는 단순한 지분투자가 아닌 공동사업 성격이어서 의미가 더욱 크다”며 “한화시스템은 그동안 방산부문에서 축적한 신뢰성 높은 표적획득, 감지, 추적 레이다 및 센서 기술 등을 활용해 오버에어와 에어택시를 함께 개발한다”고 파악했다.
한화시스템이 최근 영국 통신안테나 벤처기업 ‘페이저솔루션’을 인수한 것도 도심항공 모빌리티사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 연구원은 “페이저솔루션의 안테나기술은 장차 기지국이 필요 없는 우주 인터넷시대의 핵심장비가 될 것”이라며 “페이저솔루션의 장비는 항공기의 고품질 무선인터넷서비스, 자율주행차, 우버 에어택시사업 등에 활용돼 4차산업혁명시대 눈, 코, 입, 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최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의 성장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1만 원에서 1만4천 원으로 40%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한화시스템 주가는 16일 93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은 기업공개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2개 신규사업에 투자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한화그룹이 최근 미국 수소트럭업체 니콜라 투자에 성공해 지분가치가 크게 상승한 상황이 우버 에어택시가 상용화할 때 한화시스템에도 일어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화시스템은 2020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6750억 원, 영업이익 9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보다 매출은 8%, 영업이익은 10%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