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희 농협중앙회장이 비어있는 농협중앙회 곳간을 채울 방안을 마련하는 데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장은 농업인 월급제, 농업인 퇴직금 등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사업을 공약으로 내세웠는데 농협중앙회의 부채가 증가하고 있어 원활한 농가소득 증대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부채를 줄이는 일이 시급하다.
▲ 이성희 농협중앙회장.
3일 농업계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농협중앙회의 사업부채가 늘어나고 있어 이성희 회장이 농업인 월급제, 농업인 퇴직금 등 농가소득 증대방안을 추진하는 데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손금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농협중앙회 등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농협중앙회의 사업부채는 2019년 말 기준 13조4200억 원으로 나타났다.
농협중앙회의 사업부채는 2015년 11조3200억 원에서 2016년 11조4900억 원, 2017년 12조 4100억 원, 2018년 12조9100억 원 등 해마다 평균 5천억 원가량 늘어났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부채상환을 위해 관련 부서에서 다각도로 준비하고 있다”며 “비용 절감을 비롯해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강구하는데 전사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희 회장이 공약으로 내세운 농업인 월급제와 농업인 퇴직금 등 농가소득 제고방안 등은 정부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일과 함께 농협 자체의 역량이 중요하다.
농협이 주도적으로 나서서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데 자산 건전성 악화 때문에 농협 내부적으로 여력이 부족하다면 사업 추진에 동력을 잃을 수도 있다.
농가지원을 위한 여러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앙회의 부채가 늘었더라도 부채 증가폭의 조절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위성범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NH농협지부 중앙본부위원장은 “농협은 출자 구조 및 조직체계상 농협중앙회가 흔들리면 결국 계열사 및 조합도 존립기반이 위태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노동조합 본연의 임무인 경영감시와 함께 경영진이 차입금문제를 적극 해결하도록 촉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