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규 IBK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이 임기 만료를 앞두면서 거취에 시선이 몰린다.

김 사장은 경기침체와 증시 부진을 극복하고 실적을 대폭 끌어올린 공로를 인정받아 연임할 가능성이 높다.
 
[오늘Who] IBK투자증권 이익 늘린 김영규, 기업은행장 후보 급부상

▲ 김영규 IBK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


IBK기업은행 다음 은행장에 계열사 출신의 내부 인물이 선임된다면 김 사장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10일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다음 대표이사 인선절차는 IBK기업은행장 선임 확정 뒤 이뤄진다.

김 사장의 대표이사 임기가 14일 만료되지만 12월 말 결정되는 다음 기업은행장이 누가 되는지에 따라 김 사장의 거취에도 변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사장은 2017년 IBK투자증권 대표에 올라 2년의 임기를 마쳤는데 연임할 가능성이 높다.

IBK투자증권 대표이사를 맡은 전임자가 한 차례 연임해 모두 3년의 임기를 보내는 전례가 일반적이었고 김 사장이 IBK투자증권 실적을 크게 늘린 성과도 높게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IBK투자증권은 2017년 순이익이 연결기준으로 354억 원에 그쳤으나 김 사장이 대표에 오른 뒤 2018년 570억 원까지 늘어났다. 2019년 3분기까지 누적으로 순이익 453억 원을 보이고 있다.

김 사장이 중소기업에 특화한 IBK투자증권의 정체성과 역량을 강화해 코넥스 상장 주관과 코스닥 이전상장, 크라우드펀딩 등 분야에 주력해 좋은 성과를 올린 덕분으로 꼽힌다.

IBK투자증권이 김 사장체제에서 기업은행과 복합점포를 운영하는 등 새 영업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투자상품 판매를 크게 늘린 것도 실적 증가에 힘을 보탰다.

김 사장이 약 36년 동안 기업은행에서 기업은행본부장과 투자은행(IB)본부장, 부행장 등을 거치며 쌓은 오랜 경험이 IBK투자증권과 기업은행 사이 원활한 협업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김 사장이 IBK투자증권 대표를 연임하는 대신 다음 기업은행장에 선임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점차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이 제청해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로 국책은행 특성상 은행장 인선에 정부가 완전한 결정권을 쥐고 있다.

김도진 기업은행장은 12월 말로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데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대통령 권한대행 시절 임명된 인사인 만큼 이번 정권에서 연임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기업은행장에 정부 관료 출신 인사가 오르는 사례가 있었지만 최근 기업은행 노조와 시민단체, 정치권 등을 중심으로 '외부 출신'이 행장에 오르는 것을 놓고 반발이 커지고 있다.

김 행장을 포함해 기업은행 계열사 출신의 내부 인사가 3명 연속으로 기업은행장을 맡고 있는 만큼 이번에도 내부 출신이 기업은행장에 선임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김 사장이 IBK투자증권에서 경영역량을 증명했고 기업은행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만큼 다음 기업은행장에 가장 유력하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다음 은행장 선임과 관련한 시기나 내용은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며 "내부 출신 인사가 될지, 외부 출신이 될지도 아직 예측하기 어려운 시점"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올해 들어 미국과 중국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와 경기침체 등으로 거듭된 악재를 맞으며 대출 수요가 줄어 수익성 확보에 고전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기업은행의 주요 역할인 중소기업 자금 공급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어 정부가 기업은행장 선임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야만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김 사장은 경기침체와 증시불안을 극복하고 IBK투자증권 실적을 끌어올린 성과를 증명한 만큼 기업은행의 위기 대응전략을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을 수 있다.

다만 IBK투자증권이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DLF) 설계를 도와 손실사태에 연루되어 조사를 받은 점은 김 사장의 기업은행장 선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