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현대건설과 대림산업, GS건설에 따르면 28일로 예정된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의 현장설명회는 일정대로 진행한다.
국토부와 서울시가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한 특별점검 결과를 27일 발표하기로 했지만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만큼 계획대로 현장설명회를 준비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토부와 서울시가 27일 내놓는 결과에 따라 시공사 선정일정 연기를 넘어 최악의 경우 수사기관 고발 등을 당할 가능성도 열려 있어 각 건설사들이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국토부는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에 뛰어든 건설사의 경쟁이 과열됐다는 판단에 따라 서울시와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4일부터 15일까지 약 2주 동안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장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시행했다.
합동점검반은 각 건설사의 분양가 보장, 임대아파트 '제로(0) 공약', 사업비와 이주비 지원, 기준을 넘어서는 특화설계 등 각종 공약의 위법성을 조사했는데 점검 시작 전부터 불법행위가 나오면 수사기관 고발, 행정조치 등을 하겠다며 강력 조치를 예고했다.
각 건설사 입장에서 최악의 상황은 국토부나 서울시로부터 고발을 당하고 1500억 원 규모의 입찰보증금을 몰수당하는 일이다.
이렇게 되면 현대건설과 대림산업, GS건설은 재입찰이 진행된다고 해도 입찰제한에 걸려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에 다시 참여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건설업계에서는 각 건설사와 소송 등 법적 부담이 큰 만큼 국토부가 이런 결론을 내릴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건설업계는 국토부가 각 건설사의 위법적 요인을 지적하면서 재입찰을 권고할 가능성을 높다고 보는데 이 역시 건설사에게 좋은 결과는 아니다.
사업 지연에 따라 비용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남3구역은 현대건설과 대림산업, GS건설이 다른 사업장을 포기할 정도로 적극적으로 매달리는 곳으로 재입찰에 따라 일정이 지연되면 그만큼 기회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본사 인원과 영업 관련 외주 비용은 물론 대규모 입찰보증금에 따른 금융비용도 시간이 끌릴수록 늘어난다.
각 건설사는 한남3구역에 입찰보증금을 각각 1500억 원씩 냈는데 이 가운데 800억 원은 현금, 700억 원은 이행보증보험증권으로 제출했다.
▲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장 일대. <연합뉴스>
현금 800억 원의 금융비용은 세 건설사 가운데 시공능력 평가 순위가 가장 높은 현대건설의 3분기 무보증 장기 회사채의 평균 이자율 2.8%를 적용해 추정해 볼 때 한 달에 1억9천만 원가량 나온다.
매년 수천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대형건설사에게 한 달에 2억 원 남짓한 금융비용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수주에 실패한다면 고스란히 매몰비용이 되는 만큼 입찰 기간이 늘어나는 것이 반가울리 없다.
재입찰을 한다면 설계비용, 제안서 준비 비용 등도 또 다시 발생하게 된다.
각 건설사 입장에서 가장 좋은 결과는 국토부가 위법요소를 개선하는 선에서 애초 계획대로 사업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다.
각 건설사는 야심차게 준비한 지원 요소를 내세우지 못해 차별성 확보에 고심할 수 있지만 애초 일정대로 12월15일 열릴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한남3구역처럼 각 건설사 영업부서가 모든 걸 걸고 임하는 사업장은 사업이 늘어질수록 사업비용은 물론 심리적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며 “건설사 입장에서는 남는 자원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는 만큼 시공권을 비록 따지 못한다 하더라도 결과가 빨리 나오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