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임원 수시인사제도를 도입한 뒤 처음으로 이뤄진 계열사 대표 인사라는 점에서 재계의 관심을 끌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실적 후퇴와 수주잔고 감소 등 불안요소를 해결하고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세대교체 인사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핵심적 역할을 할 기업으로 예상된다.
정 수석부회장은 2019년 6월 기준 현대엔지니어링 지분 11.72%를 보유한 2대주주다. 1대주주는 현대건설인데 정 수석부회장은 개인으로서는 최대주주다.
정 수석부회장이 현대엔지니어링을 자체 상장하거나 현대건설과 합병 등으로 우회상장해 기업가치를 높인 뒤 그룹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활용할 것으로 증권업계는 바라본다.
그런 만큼 상장 등을 대비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는 것은 김 사장이 취임했을 때부터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김 사장은 취임 이후 중앙아시아를 비롯해 러시아, 폴란드 등 해외에서 잇따라 신규수주를 따내 기업가치를 올리는 데 필요한 성과를 냈다. 하지만 노조와 갈등 심화는 기업가치를 깎아내리는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현대엔지니어링 노조는 2017년 12월 창사 이래 처음으로 출범했다. 당시 노조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엠코 합병 과정에서 권고사직과 징계해고가 남발된 것 등을 노조 설립의 이유로 들었다. 비합리적 구조조정과 인사조치 속에서 직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기구가 없었다는 것이다.
노조는 출범 이후 최초의 단체협약 체결을 위해 회사 측과 단체교섭을 벌였지만 협상은 번번이 결렬됐다.
가장 큰 쟁점 가운데 하나로 대리급 이상 직원의 노조 가입 허용 여부가 꼽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건설업 특성상 주요 현장 지휘인력이 대부분 과장급임을 들어 대리급 이상 직원의 노조 가입을 반대하고 있다. 이에 노조는 가입범위를 정하는 것은 노조 고유의 권한이며 이를 제한하는 것은 노동조합을 실질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태도라고 맞선다.
노조는 문제 해결을 위해 김 사장이 직접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 측은 5일 성명서에서 “김 사장은 단체교섭을 거부했다는 법적책임을 피하기 위해 팀장급 직원을 교섭에 참여시키기만 했을뿐 진지하게 임하지 않았다”며 “말로만 세계화를 외치면서 직무를 유기하지 말고 직접 나서라”고 비난했다.
노사갈등과 관련해 김 사장이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채택되기라도 한다면 문제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노조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현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소속된 의원실과 증인 채택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누구를 증인으로 채택할지는 의원 쪽에서 결정할 문제이기는 하나 김 사장이 증인으로 나오는 게 노조로서는 가장 좋은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노조와 지금까지 진지하게 협상을 진행했지만 의견이 달라 협의하지 못했던 것”이라며 “노조와 대화를 지속해 노사 모두가 만족하는 협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