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광주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이 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2018년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공항 이전을 합의한 뒤 군공항을 전남지역으로 이전하는 사업이 빠르게 진척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군공항이 이전할 대상지역으로 논의되는 지자체 주민들의 강한 반대에 직면했다.
광주 군공항 이전사업은 이전지가 확정되면 광주시가 2028년까지 5조7480억 원을 들여 15.3km2 규모의 군 공항을 건설하고 8.2km2의 종전 부지를 개발해 사업비를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 시장과 김 지사는 지난 해 취임 뒤 광주와 전남의 상생을 내세우며 군공항 이전과는 별개로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을 무안공항으로 이전하는 데 합의했다.
이 시장은 조건 없는 민간공항 이전을 마중물 삼아 군공항 이전에 성과가 날 것을 기대했다.
김 지사도 당시 “군공항이 이전할 곳은 전남밖에 없다”며 “군공항 이전을 조기에 추진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민간공항 이전은 무안공항의 확장공사가 이뤄지는 등 단계를 밟아가고 있지만 군공항 이전 문제는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무안과 영암, 신안, 해남 등 전라남도 예비 이전후보지들이 강력하게 반발한 것이다.
4일 국회에서 열린 군공항 예비 이전후보지 선정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무안 등 전라남도 관계자는 참석하지 않았다.
이 지역들은 군공항 이전사업이 장기화 되면서 국방부가 직접 설명하겠다며 추진해온 주민설명회조자 거부했다.
무안군 등은 “모든 설명회 개최와 설명책자 배부계획은 중단돼야 한다”며 “설명회가 열리더라도 참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군공항 이전문제가 장기화 되면서 전남지역에서는 군공항 이전을 원점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김성일 전라남도의회 의원(해남1)은 18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군 공항 이전은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며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국제공항 통합과 광주 군공항 이전은 분명히 별개의 사안으로 민간공항 이전 합의를 명분으로 지역주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군공항 이전 요구는 타당치 않다”고 말했다.
이정운 무안군의회 의장도 24일 “군공항과 문제를 두고 장기적으로 공모한 뒤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며 “제도적 절차를 마련하고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은 지자체장 협의를 거쳐 국방부가 예비 이전후보지를 선정한 뒤 주민투표를 실시해 이전부지를 최종 선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광주시는 국방부에 예비 이전후보지 선정을 빨리 마무리 할 것을 촉구하지만 국방부는 지역주민의 반대가 있으면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광주시는 군공항 이전사업과 관련한 전용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군공항 이전에 따른 지원사업, 현장 홍보실 운영 등을 준비하고 있지만 예비 이전후보지가 결정되지 않아 이마저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홍보활동조차 반대여론을 자극할 수 있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면서 군공항 이전을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토론 등을 통해 통합적 협력구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시장은 23일 “군공항 이전은 광주와 전남 모두가 상생하는 길이다”며 “광주와 전남이 더욱 멀리 내다보며 함께 나갈 수 있도록 진정성을 지니고 소통하며 합의점을 찾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