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비메모리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 등의 신산업에 쓰일 국제표준을 앞으로 4년 안에 300건 이상 확보해 관련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10대 혁신산업에 관련된 국제표준을 2023년까지 300종 이상 제안하는 내용을 뼈대로 삼은 ‘4차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을 내놓았다.
국제표준은 여러 나라 사이에서 물질이나 서비스를 손쉽게 맞바꾸기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한 표준을 말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세계전기통신연합(ITU)에서 국제표준을 각각 제정한다.
정부는 전기·자율자동차, 수소에너지, 지능형 로봇, 스마트제조업, 바이오·헬스, 무인비행기(드론), 스마트시티·스마트홈, 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팜을 10대 혁신산업으로 지정했다.
2023년까지 10대 혁신산업에 관련된 국제표준 1500여 건이 제안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목표대로 우리나라가 이 분야의 국제표준 300건을 제안한다면 전체의 20%를 선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산업부와 다른 관계부처는 정부에서 진행하던 표준기술력향상사업과 연구개발사업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예컨대 전기·자율차 분야에서 자율주행차의 긴급대응시스템과 고속충전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소에 관련된 제조와 저장 표준 등을,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차량용 반도체의 전원과 센서에 쓰이는 성능표준 등을 개발한다.
정부는 국제표준화기구 국제전기표준회의 세계전기통신연합 의장단에 들어간 우리나라 인사 수도 전체 41명에서 2023년까지 60명으로 확대할 계획도 세웠다.
이 기구들의 의장단이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과정을 이끄는 만큼 의장단 수가 많은 국가일수록 관련 분야를 선점하는 데도 유리한 점을 고려했다.
정부는 스타트업이나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표준화를 돕는 ‘표준화 지원 매치업사업’을 시행해 2023년까지 기업 300곳을 지원할 방침을 세웠다.
기업 출신의 국제표준 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2023년까지 기업 임원대상 표준고위과정을 운영해 수료자 500명을 키우기로 했다. 산업부와 다른 부처들이 표준화를 총괄 지원할 의사결정구조(거버넌스)도 새로 구축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선진국이 만든 산업표준을 등대 삼아 항해하는 ‘패스트 팔로워’ 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4차산업혁명 시대의 국제표준화를 선점하는 전략을 통해 수출 촉진과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을 이루는 데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10대 혁신산업에 관련된 국제표준을 2023년까지 300종 이상 제안하는 내용을 뼈대로 삼은 ‘4차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을 내놓았다.
▲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제표준은 여러 나라 사이에서 물질이나 서비스를 손쉽게 맞바꾸기 위해 국제적으로 공인한 표준을 말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세계전기통신연합(ITU)에서 국제표준을 각각 제정한다.
정부는 전기·자율자동차, 수소에너지, 지능형 로봇, 스마트제조업, 바이오·헬스, 무인비행기(드론), 스마트시티·스마트홈, 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팜을 10대 혁신산업으로 지정했다.
2023년까지 10대 혁신산업에 관련된 국제표준 1500여 건이 제안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목표대로 우리나라가 이 분야의 국제표준 300건을 제안한다면 전체의 20%를 선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산업부와 다른 관계부처는 정부에서 진행하던 표준기술력향상사업과 연구개발사업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예컨대 전기·자율차 분야에서 자율주행차의 긴급대응시스템과 고속충전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소에 관련된 제조와 저장 표준 등을,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는 차량용 반도체의 전원과 센서에 쓰이는 성능표준 등을 개발한다.
정부는 국제표준화기구 국제전기표준회의 세계전기통신연합 의장단에 들어간 우리나라 인사 수도 전체 41명에서 2023년까지 60명으로 확대할 계획도 세웠다.
이 기구들의 의장단이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과정을 이끄는 만큼 의장단 수가 많은 국가일수록 관련 분야를 선점하는 데도 유리한 점을 고려했다.
정부는 스타트업이나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표준화를 돕는 ‘표준화 지원 매치업사업’을 시행해 2023년까지 기업 300곳을 지원할 방침을 세웠다.
기업 출신의 국제표준 전문가 육성을 목표로 2023년까지 기업 임원대상 표준고위과정을 운영해 수료자 500명을 키우기로 했다. 산업부와 다른 부처들이 표준화를 총괄 지원할 의사결정구조(거버넌스)도 새로 구축하기로 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선진국이 만든 산업표준을 등대 삼아 항해하는 ‘패스트 팔로워’ 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4차산업혁명 시대의 국제표준화를 선점하는 전략을 통해 수출 촉진과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을 이루는 데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