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의 자본위기가 KT의 케이뱅크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 이후로 빠르게 커지고 있다.
케이뱅크의 자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T가 케이뱅크 지분을 포기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지만 지분을 인수할 만한 회사가 없어 보이는 데다 KT와 케이뱅크의 특별한 관계를 감안하면 KT의 지분 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가 상반기 안에 소규모 자본확충에도 성공하지 못한다면 주력 중금리대출상품인 ‘슬림K 신용대출’의 판매 등을 중단할 수도 있다.
케이뱅크의 자본문제는 점점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케이뱅크는 KT가 주도하는 5900억 원의 증자로 상반기 안에 자본을 확충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KT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중단되며 사실상 증자가 불가능한 상황에 놓였다.
케이뱅크는 이미 6개의 대출 상품 가운데 ‘직장인K마이너스통장’, ‘직장인K신용대출’, ‘비상금 마이너스통장’ 등 3개 대출상품의 판매를 중단했다.
케이뱅크는 자본문제가 아닌 상품 재단장을 위해 대출상품 판매를 중단했다고 밝혔지만 업계에서는 대출에 필요한 자본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지난해 말 16.53%에서 3월 말 기준으로 12%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이 이어진다면 케이뱅크는 대출영업을 완전 중단해야 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은 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이 10% 아래로 떨어지면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8% 미만이면 비용을 통제하거나 자본금을 늘릴 것을 강제할 수 있다.
케이뱅크의 상황이 빠르게 악화되자 업계에서는 KT가 케이뱅크 지분을 포기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KT가 사실상 케이뱅크의 최대주주가 될 수 없는 상황에 이른 만큼 케이뱅크의 생존을 위해 유상증자를 이끌 새 주주에게 지분을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KT가 케이뱅크 지분을 넘기겠다는 결정을 하더라도 이 지분을 넘겨받을 회사를 구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우선 케이뱅크의 기존 주요 주주들은 KT의 케이뱅크 지분을 넘겨받을 수 없는 상황으로 보인다.
케이뱅크의 주요주주는 우리은행(13.79%), KT(10%), NH투자증권(10%), 한화생명(9.41%) 등이다.
최대주주인 우리은행은 은행법상 케이뱅크의 지분을 15% 이상 보유하면 케이뱅크 지분을 우리금융지주로 넘겨 케이뱅크를 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 우리금융지주 상황에서는 지분을 추가로 넘겨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관측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도 “케이뱅크 지분율을 늘릴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지분구조상 농협중앙회를 기반으로 한 산업자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인터넷전문은행 지분을 10% 이상 늘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화생명은 한화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전 참여설 등이 나오고 있어 여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뱅크와 KT가 자본시장에서 새로운 주주를 찾을 수도 있지만 제3 인터넷전문은행에 40여 개의 회사가 참여하면서 인터넷전문은행 진출에 관심을 보인 회사가 별로 남아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KT가 케이뱅크에게 단순히 자금만 지원하는 대주주가 아니라 커다란 역할을 해낼 회사라는 점도 케이뱅크와 KT가 아주 쉽게 헤어지지 못할 이유로 꼽힌다.
케이뱅크는
심성훈 케이뱅크 행장을 비롯해 임원 상당수가 KT 출신이다. 직급체계도 일반적 은행보다는 부문장을 내세운 KT와 더 닮아있기도 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KT는 사실상 케이뱅크의 지배회사라는 분위기로 케이뱅크와 특별한 관계를 구축해왔기 때문에 KT가 지분을 포기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