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4월15일~19일) 국내 증시는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를 살피며 중립 수준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용구 하나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통상적으로 4월 중순에 발표되는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에 따라 환율 등 금융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환율보고서 발표가 금융시장 전체를 뒤흔드는 위험이 되지는 않겠지만 투자자의 경계감이 높아지는 시기인 만큼 국내 증시가 2200선 안착을 노리는 숨 고르기 형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음주 증시, 미국 환율보고서 발표 살피며 숨 고르기 예상

▲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미국 재무부는 4월 환율보고서 발표를 통해 환율조작국을 지정한다. 

환율조작국 지정은 미국의 교역촉진법을 근거로 하는데 연간 대미무역흑자 200억 달러(22조8300억 원) 이상, 경상흑자가 국내총생산(GDP)의 3% 이상, 외환시장 개입(달러 매수)이 국내총생산의 2% 이상 등의 조건을 모두 갖춰야 한다. 

미국 정부는 최근 환율조작국 지정 근거법을 종합무역법으로 바꾸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원은 “근거법이 종합무역법으로 바뀐다면 대규모 경상흑자나 유의미한 대미 무역흑자 요건 가운데 하나만 갖춰도 환율조작국 지정이 가능해진다”며 “미국 재무부의 자의적 판단으로 환율조작국이 지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미국 보호무역주의의 과녁이 중국에서 유럽, 한국, 일본 등으로 바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한국은 2015년 이후 대미무역흑자가 감소하고 있고 미국 전체 무역수지 적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는 점에서 실제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은 낮다고 김 연구원은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환율보고서 발표 앞뒤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은 증시에 분명한 부담요인”이라며 “투자자들은 환율과 외국인 수급에 각별한 경계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