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람의 질병을 예측해 대비할 수 있고 유전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해 표적치료제 등 신약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이 바이오산업 지원을 강조하면서 정부정책 지원으로 유전체산업이 떠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바이오 분야를 반도체 등을 이을 미래산업으로 바라보고 있다. 1월 기업인과 대화에서도 바이오산업을 수소경제, 미래자동차, 5G 기반 산업과 함께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들며 지원을 약속했다.
2019년 들어 바이오산업 육성을 향한 문 대통령의 뜻은 정책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놓은 규제 샌드박스 허용대상 가운데 비의료기관의 유전자 검사를 허용하는 방안이 포함돼 유전자 분석을 활용한 치료법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규제 샌드박스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가 출시될 때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 또는 유예해주는 제도다.
기존 12개 항목으로 제한됐던 소비자 직접의뢰(DTC) 유전자 검사항목에 관상동맥 질환, 심방세동, 고혈압, 2형당뇨병, 뇌졸중, 골관절염, 전립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황반변성, 파킨슨병 등 13개가 추가됐다. 규제 샌드박스 혜택을 받는 기업인 마크로젠은 송도의 2천 명을 대상으로 2년 동안 시범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유전체의 분석과 활용을 위한 자금 지원도 늘려갈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는 18일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3조 원 규모의 투자를 2019년에 실시한다는 계획을 세워 발표했다. 정부의 투자계획에는 유전체산업을 육성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유전체정보 등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바이오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을 촉진할 것”이라며 “치매, 감염병 예방과 진단, 치료기술 개발에 주력해 국민건강과 생활편익 증진을 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유전체 분석과 활용과 관련한 기업과 산업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도 커졌다. 유전체시장은 큰 폭의 성장세가 예상되는 분야다. 세계 유전체 분석시장은 2017년 16조 원 규모였던 것이 2023년 3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미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유전체시장은 유젠체의 정보가 쌓이면서 분석과 해석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며 “신뢰도와 더불어 시장의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려는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해 높은 분석력과 정확도를 바탕으로 시장을 선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2022년까지 미국인 100만 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몇몇 민간 기업은 정부보다 많은 유전체 정보를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 핀란드와 싱가포르 등도 바이오뱅크를 구축해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이 빠른 시일 안에 유전체 정보를 확보해 산업을 발전해 나가지 않으면 성장세가 높은 유전체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걱정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도 7일 청와대에서 열린 벤처기업인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을 만나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 연구원은 “유전체 검사 관련 규제가 추가로 완화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며 “이번에 규제 완화대상이 돼 2년 동안 시범사업을 할 수 있는 마크로젠, 새로운 유전체 검사 방법으로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 바이오니아, 유전자 분석 플랫폼을 지닌 EDGC 등이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