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지방 부동산 가격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5일 “선진국 금리 상승과 유가, 유로 지역 물가 상승은 단기적으로 국내 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라며 “한국은행은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25%로 인상했다. 미국의 연간 경제 성장률 전망도 2018년 2.8%에서 3.1%, 2019년 2.4%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금리 인상 속도도 점도표를 통해 올해 4번의 금리 인상을 통해 2.5%까지 높인 뒤 2019년 3번, 2020년 1번의 금리 인상으로 3.5%까지 높이겠다는 기존 계획을 유지했다.
이 연구원은 유럽 지역의 물가를 놓고 “유럽 경기는 올해 둔화 추세”라면서도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오르고 있어 유럽중앙은행(ECB)은 물가 상승에 자신감을 얻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높이게 되면 지방 경제의 내수 침체가 더 심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지방과 서울 사이의 양극화가 심각하다”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분양 문제를 겪고 있는 지방 경제권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 부동산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2017년 11월부터 지역경제의 내수 부진과 맞물려 하락세가 가팔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제조업 기반이 무너진 울산, 경남 지역은 지난해 11월부터 부동산 가격이 8~9% 떨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기준금리가 오르면 지방 부동산 가격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 한국은행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기준금리가 오르면 지방 부동산 가격에는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사진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동결하며 의사봉을 두드리는 모습.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5일 “선진국 금리 상승과 유가, 유로 지역 물가 상승은 단기적으로 국내 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라며 “한국은행은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25%로 인상했다. 미국의 연간 경제 성장률 전망도 2018년 2.8%에서 3.1%, 2019년 2.4%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금리 인상 속도도 점도표를 통해 올해 4번의 금리 인상을 통해 2.5%까지 높인 뒤 2019년 3번, 2020년 1번의 금리 인상으로 3.5%까지 높이겠다는 기존 계획을 유지했다.
이 연구원은 유럽 지역의 물가를 놓고 “유럽 경기는 올해 둔화 추세”라면서도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오르고 있어 유럽중앙은행(ECB)은 물가 상승에 자신감을 얻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높이게 되면 지방 경제의 내수 침체가 더 심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지방과 서울 사이의 양극화가 심각하다”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분양 문제를 겪고 있는 지방 경제권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 부동산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2017년 11월부터 지역경제의 내수 부진과 맞물려 하락세가 가팔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제조업 기반이 무너진 울산, 경남 지역은 지난해 11월부터 부동산 가격이 8~9% 떨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