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일본 오사카 노선에서 예약 취소나 예약 변경 등을 진행하는 예약자 수가 미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최정호 진에어 대표이사.
국적 항공사들은 오사카 지진에 대응해 오사카 노선 항공편의 예약을 놓고 최대 6월30일까지 일정 변경과 취소수수료를 면제하고 있다.
저비용항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오사카 간사이공항에서 항공편이 정상적으로 운항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고객들이 공항에서 시내로 들어가는 교통 정체 등으로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배려해 예약을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오사카노선 항공편의 예약자들 일부가 예약을 변경하거나 취소하고 있다”며 “다만 그 숫자가 수십 명으로 극히 적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당장 예약취소나 예약변경을 진행하는 예약자 수가 급증하고 있진 않지만 휴가철 일본 여행을 계획했던 소비자들이 일본 외 다른 지역으로 여행지를 돌릴 가능성도 있다.
일본 기상청은 18일 오사카 지진으로 지진해일이 발생하진 않았지만 여진이 추가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손윤경 SK증권 연구원은 19일 “오사카 지진은 일본 관광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소비자들이 단거리 여행지로 중국을 일본의 대안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바라봤다.
일본 여객 수요가 중국으로 옮겨가면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 저비용항공사들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보다 타격이 클 수 있다.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은 일본 노선 의존도가 크다. 제주항공과 진에어는 올해 1분기 일본 노선 매출 비중이 각각 30.6%와 23%를 보였다.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은 중국노선에서 항공기 운항이 대형항공사들보다 적다.
중국 노선 대부분은 항공 자유화 지역이 아닌 만큼 항공사들은 중국노선에 취항하기 위해 운수권을 확보해야 한다. 이 때문에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수요가 많은 주요 도시에는 사실상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정기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 저비용항공사들은 일본 노선 호조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실적이 급증했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일본 노선 매출이 지난해 1분기보다 46.8% 늘어났으며 진에어는 올해 1분기 일본노선 매출이 31.7% 증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