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주가가 당분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유상증자와 4분기 영업손실이 주가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2018년에는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수주잔고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최진명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현대중공업의 목표주가를 기존 17만7천 원에서 16만 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최 연구원은 “현대중공업은 4분기 환율과 강재 가격인상에 따른 대규모 일회성 비용의 발생으로 4분기에 적자를 낼 것”이라며 “26일 유상증자도 발표했는데 이 두 가지 소식은 현대중공업의 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파악했다.
현대중공업은 ‘무차입경영’으로 수주전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1조3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기로 했다. 유상증자가 발표되면 주가 희석을 우려하는 투자자들의 매도세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기도 한다.
현대중공업은 4분기에 3621억 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영향을 받았다.
강재 가격이 오르면서 460억 원 규모의 비용이 발생했다. 또 4분기 수주공사에 환손실이 발생해 현대중공업이 1030억 원, 현대삼호중공업이 1860억 원, 현대미포조선이 290억 원가량의 비용을 재무제표에 반영했다.
다만 현대중공업은 일회성 비용들이 올해 4분기에 미리 반영된 결과 2018년 비용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 연구원은 “환율 및 강재 가격인이 미리 반영됐고 배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2018년 비용구조는 전체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유상증자가 현금으로 조달되는 만큼 재무구조가 크게 좋아지면서 세계 1위 중공업체인 현대중공업은 재무구조도 세계 1위 수준으로 오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유상증자를 끝내고 나면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현대중공업그룹 조선계열3사는 순차입금을 모두 해소하고 5천억 원 규모의 순현금을 보유하게 돼 사실상 무차입경영을 할 수 있게 된다.
현대중공업은 2018년에 매출 13조6천억 원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실적전망치보다 11.6% 줄어드는 것인 만큼 매출이 충분치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비용구조가 개선되면서 손익분기점을 넘는 수준의 실적은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또 환율 흐름에 따라 조기에 흑자를 낼 가능성도 있다고 파악됐다.
현대중공업은 내년 수주 잔고가 크게 늘어나 실적 반등의 토대를 만들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중공업은 내년 165억6300달러 규모의 수주를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전망치보다 45.0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다만 2018년에는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수주잔고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
최진명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현대중공업의 목표주가를 기존 17만7천 원에서 16만 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최 연구원은 “현대중공업은 4분기 환율과 강재 가격인상에 따른 대규모 일회성 비용의 발생으로 4분기에 적자를 낼 것”이라며 “26일 유상증자도 발표했는데 이 두 가지 소식은 현대중공업의 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파악했다.
현대중공업은 ‘무차입경영’으로 수주전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1조3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기로 했다. 유상증자가 발표되면 주가 희석을 우려하는 투자자들의 매도세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기도 한다.
현대중공업은 4분기에 3621억 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발생한 영향을 받았다.
강재 가격이 오르면서 460억 원 규모의 비용이 발생했다. 또 4분기 수주공사에 환손실이 발생해 현대중공업이 1030억 원, 현대삼호중공업이 1860억 원, 현대미포조선이 290억 원가량의 비용을 재무제표에 반영했다.
다만 현대중공업은 일회성 비용들이 올해 4분기에 미리 반영된 결과 2018년 비용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 연구원은 “환율 및 강재 가격인이 미리 반영됐고 배 가격이 꾸준히 오르면서 2018년 비용구조는 전체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유상증자가 현금으로 조달되는 만큼 재무구조가 크게 좋아지면서 세계 1위 중공업체인 현대중공업은 재무구조도 세계 1위 수준으로 오르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중공업이 이번에 유상증자를 끝내고 나면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현대중공업그룹 조선계열3사는 순차입금을 모두 해소하고 5천억 원 규모의 순현금을 보유하게 돼 사실상 무차입경영을 할 수 있게 된다.
현대중공업은 2018년에 매출 13조6천억 원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실적전망치보다 11.6% 줄어드는 것인 만큼 매출이 충분치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비용구조가 개선되면서 손익분기점을 넘는 수준의 실적은 올릴 것으로 전망됐다. 또 환율 흐름에 따라 조기에 흑자를 낼 가능성도 있다고 파악됐다.
현대중공업은 내년 수주 잔고가 크게 늘어나 실적 반등의 토대를 만들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중공업은 내년 165억6300달러 규모의 수주를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전망치보다 45.0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