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저널] 동성제약 대표 20년 이양구 돌연 사임 미스터리, 불법 리베이트 재판 회피책이었나](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7/20250714101623_217320.jpg)
▲ 서울 도봉구 방학동 동성제약 본사 전경 <네이버 지도 갈무리>
그러던 이 전 회장은 2003년 단독대표이사 자리에 올랐고 2024년까지 줄곧 대표 자리를 지켰다.
그런데 이 전 회장은 2024년 10월 갑자기 대표직에서 물러나며 조카인 나원균 당시 부사장에게 대표 자리를 물려줬다. 당시 이 전 회장은 2024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로 재선임된 상태였고 2027년 3월까지 임기가 보장돼 있었다는 점에서 사임은 갑작스러운 결정이었다.
당시 동성제약은 이 전 회장의 사임을 두고 세대교체와 사업 다각화를 명분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이 전 회장이 외부 압력에 못 이겨 물러난 것이라고 해석했다. 겉으로는 자발적으로 사퇴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본인의 사법 리스크에 따른 비자발적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이 전 회장은 의사들에게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2024년 3월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 판결은 나중에 2025년 5월 2심에서도 유지된다.
아울러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연속 영업적자를 내는 등 동성제약의 실적이 크게 나빴던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리해 보면, 이 전 회장은 외부 비판과 압력에 따라 대표직에서 사퇴했고 이후 이에 대해 불만을 품어 온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대표 자리를 자신의 아들이 아닌 조카에게 물려준 것도 가슴에 담아뒀을 수 있다. 이 전 회장 입장에서는 사퇴 당시 본인의 두 아들이 아직 젊은데다 경영권을 이어받을 준비가 돼 있지 않았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조카인 나 대표는 회사에서 부사장에 올라 있었고 이사회에도 진입해 있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불만이 이후 경영권 분쟁을 벌이는 원인이 됐을 것으로 추측한다.
특히 나 대표가 2025년 4월 추진한 유상증자가 경영권 다툼을 일으킨 트리거가 됐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유상증자를 본인의 지분을 희석하려는 시도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나 대표는 2025년 4월16일 에스디에너지를 대상으로 하는 20억 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유상증자 대금 납입은 4월23일 이뤄졌고 신주는 5월23일 상장됐다.
이 전 회장이 브랜드리팩터링에 지분을 매각하는 계약을 맺은 것은 4월21일, 주식 양도로 최대주주가 변경된 것은 4월22일이다.
◆ 나원균 대표는 누구?
나원균 대표는 이양구 전 회장의 누나인 이경희 전 오마샤리프화장품 대표의 아들이다.
미국 에모리대학교에서 응용수학과 경제학을 졸업하고 금융위원회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일하다가 2019년 동성제약에 입사해 국제전략실장으로서 해외사업을 총괄했다.
2022년 3월 사내이사에 선임되며 처음으로 이사회에 진입했다.
2024년 10월 외숙부인 이 전 회장의 갑작스런 대표 사임으로 대표이사가 됐다. 이승열 기자